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 28일 실시한 쟁의행위 투표에서 파업이 최종 가결됨에 따라 오는 30일부터 전면적인 쟁의행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 28일 실시한 쟁의행위 투표에서 파업이 최종 가결됨에 따라 오는 30일부터 전면적인 쟁의행위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올해 임금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지난 14일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을 받고 있으나, 오는 29일까지 조정이 결렬될 경우 30일부터 소위 '준법투쟁'과 '안전운행 캠페인' 등 전면 파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내버스 운행 지연과 배차 간격 증가로 인해 출퇴근 시간 시민 불편이 예상된다.
버스노조는 파업의 주요 원인으로 서울시의 준공영제 개편안을 지목했다. 서울시는 현행 '사후정산제'에서 정해진 금액만 지급하는 '사전확정제'와 '표준단가제' 도입을 추진 중인데, 노조는 이로 인해 수익이 낮은 노선이 폐지되고 인력 감축 및 노동자 권리 침해가 우려된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서울시가 현장 노동자의 목소리를 외면하고 일방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준공영제 개편이 시행되면 인건비 감축 압박으로 노동조건이 크게 악화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전면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했다. 서울시는 지하철 운행 횟수를 하루 173회 증회하고 혼잡시간대를 1시간 연장하며, 막차 운행을 익일 오전 2시까지 연장 운행하기로 했다. 또한 각 자치구에 무료 셔틀버스 500여 대를 긴급 투입하여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노사 간 원만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끝까지 노력할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에도 시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모든 교통 수단을 총동원한 비상수송대책을 철저히 준비했다"고 밝혔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