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와 'AI 기반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 기술 검증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 최대 규모 친환경차 인프라를 보유한 공항 환경에서 자동충전 로봇 서비스 실증에 나선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 시연 후, (왼쪽부터)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과 현대차 · 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과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이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공항 환경에 최적화된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 서비스를 공동으로 개발하고 실증할 예정이다.
이번 협업은 현대차·기아에게 기존 실증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 영역을 크게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높은 안전성과 효율적 운영이 요구되는 국가 보안 최고 등급 지역인 공항 시설까지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인천국제공항은 자동충전 로봇 서비스를 활용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공항은 관내 업무용 차량을 모두 친환경차로 전환했으며, 2026년까지 1110기의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어서 대규모 실증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실증사업 추진을 위해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은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인천국제공항의 운영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 운영 시나리오를 발굴하여 적용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업무용 친환경차를 대상으로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을 실제 운영하며 사용성을 검증하고, 공항공사 직원들의 피드백을 수집해 공유하는 역할을 맡는다.
양희원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은 현대차·기아의 로봇 및 AI 기술력과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축적된 운영 경험이 융합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의 실질적 효용을 검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또한 "현대차·기아는 어떤 환경에서도 제약 없이 사용 가능한 맞춤형 자동충전 솔루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향상된 이동 경험을 제공하고 인천국제공항과 함께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인프라를 구축해 친환경차 보급 확대는 물론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선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학재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천공항의 여객 서비스 향상과 운영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인천공항은 우수한 인프라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공항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현대차·기아가 개발한 전기차 자동충전 로봇은 3D 카메라 기반의 AI 알고리즘을 적용한 외팔형 로봇으로, 충전기를 들어 차량 충전구에 체결해 충전을 시작하고 충전 완료 후 충전기를 뽑아 제자리에 돌려놓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충전구를 정확히 인식하고 충전기를 체결할 수 있는 정밀한 기술력이 핵심 특징이다.
현대차·기아는 상용화를 위한 다양한 실증사업을 진행해왔다. 2024년 서울 성수동 '팩토리얼 성수'에 도입했으며, 현대차 고객 대상 '지금은 충전 중' 캠페인을 통해 '제주 새빌 E-pit 충전소'에서 자동충전 로봇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러한 실증을 통해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 결과, 지난해 국내 품질 보증 인증 제도인 KC 인증과 유럽연합의 안전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CE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