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버스 노조가 오는 4월 30일부터 전면 파업을 예고하며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3월, 12년 만에 발생한 총파업으로 서울 시내버스의 97.6%가 멈추는 사태가 있었고, 이번에도 비슷한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
파업으로 만춰선 버스들 (교통일보 자료사진)
노조는 서울시의 준공영제 개편안이 노동환경을 악화시키고, 수익성이 낮은 노선의 폐지를 유도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서울시는 재정 건전성과 효율적인 버스 운영을 위해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파업에 대비해 지하철 증편, 무료 셔틀버스 운행, 출퇴근 시간 조정 요청 등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이 실제 파업 시 시민들의 불편을 얼마나 해소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히 지난해 파업 당시에도 비상대책이 마련되었지만, 시민들의 불편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노사 간의 임금 협상 문제가 아니라, 서울시의 교통 정책 전반에 대한 신뢰와 투명성의 문제로 확대되고 있다. 시민들은 반복되는 파업과 그로 인한 불편에 지쳐가고 있으며, 서울시와 노조 모두에게 책임 있는 자세와 실질적인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노조는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는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협력을 통해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시와 노조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이번 사태를 원만히 해결하고, 앞으로의 교통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