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자동차매매업계가 △대단위 중고차 매매단지 조성을 위한 부지 제공 △부산신항 배후 지역 중고차 수출 복합단지 조성 △온라인 경매사이트 플랫폼 개발·운영 홍보 등 중고차 산업 육성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시자동차매매조합 김창현 이사장 등 임원들이 박형준(오른쪽에서 2번째) 부산시장을 면담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부산시자동차매매조합은 19일 부산시청 7층 의전실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면담하고 이 같은 ‘정책 사업’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황현철 교통혁신국장, 정진우 교통혁신과장을 비롯한 관계 공무원과 김창현 이사장, 권성우 부이사장, 박진수 전무이사 등 조합 임원들이 함께했다.
조합은 서부산권 산업단지에 대단위 중고차 매매단지 조성을 위한 적정 규모 부지 제공을 우선적으로 요구했다.
강서 지역인 서부산권 산업단지에 150개 정도 매매업체가 입점해 중고차를 판매할 수 있는 1만6500㎡(약 5000평) 규모의 부지를 매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장기 임대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 지역에 중고차 대단지가 조성되면 매년 중고차 판매로 인한 5000억 원대 이상의 매출과 함께 취·등록세(판매가의 6%)가 300억 원에 달해 지방세수 증대에도 기여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해 400여 매매업체 3000여 명의 종사자가 약 1조 6000억 원의 매출 실적을 달성, 900억 원대의 지방세수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매출 규모는 지역 중소기업 최상위권 업체와 견줄 수 있는 실적이며, 매매업계가 지역 경제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서부산권 산업단지 내 중고차 대단지 조성으로 도심권의 군소 매매단지 입점 업체들이 외곽지역으로 이전하면 도심 교통혼잡 완화, 단지 주변의 불법 주정차 근절, 도시미관 저해를 개선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동부산권에는 경동오토필드(기장군 반룡산업단지)가 대단지로서 규모화에 힘입어 지난해 말 기준 78개 입점 업체가 1만6976대를 판매해 4421억 원대의 매출 실적을 올렸다. 이는 지역 전체 매출에 21%를 차지한다.
조합은 부산신항 배후 지역에 중고차 복합단지를 조성해 수출 차량 집적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부지 제공과 행정 및 금융 지원 등을 건의했다.
부산신항 배후 지역에 중고차 수출·매매 복합단지가 들어서면 부산을 포함한 영남권과 호남권까지 커버할 수 있는 남부권 최대 중고차 수출단지로 거듭나 지역 일자리 창출과 지방세수 확충에도 기여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국내 중고차 수출 대수는 63만대로 수출액은 약 7조 2000억 원대다. 매년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고차 수출 물량의 80%가량은 인천항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인천항 인근 옛 송도유원지 일대 포진한 중고차 수출업체들이 수출단지를 운영하며 수출을 주도하고 있다.
중고차 온라인 경매사이트 플랫폼 개발·운영에 필요한 지원책도 요구했다.
조합은 중고차 온라인 경매는 대부분 수도권에서 성장한 스타트업(헤이딜러)을 통해 이뤄져 경매를 통해 발생하는 수수료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물량 부족까지 초래하는 여러 부작용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고자 조합은 오는 8월 15일 오픈을 목표로 개발해 막바지 테스트 중인 온라인 경매사이트 플랫폼이 조기에 성공할 수 있도록 시 산하 공사·공단에 홍보는 물론 스타트업 창업 지원도 건의했다.
김창현 이사장은 “이번에 건의한 업계 숙원 사업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부산시와 협업을 강화하는 등 조합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형준 부산시장은 매매업계가 어려운 매매환경에서도 지역 발전과 상거래 질서 확립에 앞장서고 있는데 대해 격려한 뒤 ”부산신항 배후 지역 중고차 수출 복합단지 전략산업 육성 방안 강구 등 건의 사항이 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윤영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