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4월 23일, 서울시에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 주체로서의 책무를 즉각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4월 23일, 서울시에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 주체로서의 책무를 즉각 이행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노동조합은 서울시가 안정적인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을 방기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준공영제 하에서 서울시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수개월간 9차례의 중앙교섭을 통해 물가상승률 반영한 임금 인상, 65세 정년 연장, 동일노동-임금차별 해소, 암행감찰 폐지 등 합리적인 요구를 지속적으로 제시해왔다.
그러나 사측은 임금 삭감, 무제한 해고 및 징계, 유급휴가 폐지 등 노동조합이 수용하기 어려운 40여 가지의 개악안을 제시하며 교섭을 무력화시키고 있다는 것이 노조측의 주장이다.
특히, 노조는 사측이 교섭 과정에서 단 한 번도 논의된 적 없는 ‘정기상여금 통상임금 제외’ 안건을 노동위원회에 일방적으로 제출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그동안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문제는 소송 결과 이후에 논의하자’는 입장을 견지해왔으나, 사측이 갑자기 태도를 바꿔 노동위원회에 통상임금 문제를 제기하며 교섭 합의를 파행으로 몰고 갔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서울시 역시 사측의 주장에 동조하며, 노동조합의 정당한 요구에는 침묵하면서 오히려 노동조합을 ‘과도한 주장을 펼치는 집단’으로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서울시가 헌법상 보장된 노동자의 단체행동권을 침해하고 준공영제 개편이라는 명분 아래 노동자와 시민을 적으로 돌리고 있다고 주장하며, 관련 정책의 즉각 중단과 재고를 촉구했다.
노조는 서울시가 준공영제 주체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노동자의 권리를 짓밟고 교섭을 파행으로 몰고 가는 행태에 단호하게 맞서 싸울 것을 천명했다.
아울러, 노조는 정당한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며, 향후 사태의 모든 책임은 서울시에 있음을 분명히 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