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취재본부 서철석 기자】 대구 지역 택시 시장이 심각한 공급 과잉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대구 서대구역 앞에 승객을 기다리는 택시의 줄이 길게 늘어서 있다.
대구시가 최근 발표한 택시 총량 산정 결과에 따르면, 현재 운행 중인 택시 수가 수요에 비해 5천 대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나 택시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대구시는 택시 공급 조절을 위해 택시 부제(의무 휴업제) 재도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업계의 첨예한 입장 차이로 난항을 겪고 있다.
수요-공급 불균형 심각…택시 업계, 감차만이 해법 호소
대구시의 ‘제5차 대구시 택시 총량 산정 결과’에 따르면, 대구 지역에는 총 1만5천703대의 택시가 운행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수요 대비 적정 택시 총량인 1만257대에 비해 무려 5천446대가 과잉 공급된 수치다.
택시 공급 과잉으로 인해 지역 택시 업계는 가동률이 보유 대수의 30% 미만까지 떨어지는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해 있으며, 택시 감차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승객을 기다리는 택시들이 길게 줄지어 서 있는 모습은 이제 대구 시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되었다.
택시 부제 재도입 놓고 업계 간 ‘엇갈린’ 시선
대구시는 택시 공급을 줄이기 위해 2023년부터 매년 국토교통부에 택시 부제 재도입을 건의해 왔다. 택시 부제는 택시 기사들에게 의무적으로 휴업일을 지정하는 제도로, 택시 운행 대수를 줄여 공급 과잉을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국토교통부는 개인택시와 법인택시 업계 간의 엇갈리는 의견을 조율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재도입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역 법인택시 업계는 택시 부제 재도입에 찬성하는 반면, 개인택시 업계는 반대하고 있어 의견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개인택시 기사들은 택시 면허를 일종의 재산으로 여기기 때문에 부제 도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월급제 시행 압박에 ‘줄도산’ 우려…기사들 생계 곤란 호소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국토교통부가 택시 월급제 시행을 위한 조사 및 현장 실사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 지역 택시 업계는 월급제가 강행될 경우 업체들의 줄도산과 파산이 불 보듯 뻔하다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택시 업체 관계자는 “현재도 하루 사납금을 채우기 어려워 택시 운전기사들이 점심값조차 벌지 못해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이런 상황에서 월급제가 시행된다면 인건비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문을 닫는 업체가 속출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택시 공급 과잉이라는 고질적인 문제에 더해 택시 부제 재도입을 둘러싼 업계 내 갈등, 그리고 월급제 시행이라는 새로운 난제까지 겹치면서 대구 지역 택시 업계의 앞날은 더욱 불투명해지고 있다.
대구시가 과연 택시 시장의 위기를 극복하고 택시 업계와 운전기사, 시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