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와 사측이 7일간의 총파업 끝에 11일 오후 3시 30분경 기본급 2.5% 인상, 4조2교대 시행, 체불임금 해소방안 마련 등을 골자로 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철도노조와 사측이 7일간의 총파업 끝에 11일 오후 3시 30분경 기본급 2.5% 인상, 4조2교대 시행, 체불임금 해소방안 마련 등을 골자로 한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이번 합의는 지난 10일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실무교섭이 30시간 넘게 이어진 끝에 이뤄낸 결과다. 협상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사측이 기존에 제시했던 안을 철회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였고, 10일 오후 9시부터 재개된 실무교섭에서도 양측은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잠정합의안의 주요 내용을 보면, 임금은 기본급 대비 2.5% 이내 인상하기로 했으며, 재원 마련 방안은 별도로 합의했다. 4조2교대 근무체계는 신속히 전환될 전망이며, 임금체불 문제는 정부가 참여하는 연구용역을 통해 내년 중 해소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한 외주화 중단과 안전인력 충원에 대해서도 일정 부분 성과를 거뒀으나, 추가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승진포인트제도는 2025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번 잠정합의안은 조합원 총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최명호 철도노조 위원장은 "사측의 억지와 불통, 권력 공백기에 멈춰선 기재부와 국토부 등 여러 난관을 철도노동자의 힘으로 슬기롭게 극복해왔다"며 "이번 잠정합의를 바탕으로 안전한 노동과 삶, 공공성 강화를 위한 투쟁을 더욱 힘차게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합의로 지난 5일부터 이어진 철도 파업은 7일 만에 종료 수순에 들어갔다. 파업 마지막 날인 이날 오전 기준 열차 운행률은 평시 대비 75.7%를 기록했으며, 파업 참가자 중 199명이 이미 업무에 복귀한 상태였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