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와 사측이 10일 민주당의 중재로 마련된 교섭에서 임금재원 마련, 4조2교대 도입 등 주요 쟁점을 놓고 10시간 넘게 협상을 이어갔으나, 사측이 기존 제시안마저 철회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합의점 도출에 실패했다.
철도노조 파업 6일차 (사진=철도노조 제공)
철도노조 측에 따르면, 철도노조와 사측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실무교섭을 진행했다.
양측은 임금재원 마련과 임금체불 문제, 정부기준에 따른 임금인상, 4조2교대 승인, 투명한 승진제도 도입, 노동 감시카메라 설치 등 핵심 의제를 놓고 치열한 논의를 벌였다. 교섭 과정에서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의 입장 확인을 위해 국회를 방문하기도 했다.
오후 8시에 진행된 본교섭에서 양측은 '최선을 다하겠다'는 모두발언으로 시작했으나, 쟁점 확인에 들어서자 사측의 태도는 급변했다.
사측은 구체적인 입장 제시를 회피하거나 모호한 답변으로 일관했으며, 더욱이 파업 이전에 제시했던 안을 철회하는 등 후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10분 만에 종료된 본교섭은 그 어느 때보다 냉랭한 분위기 속에서 실무교섭 재개로 이어졌다.
한편, 파업 6일차를 맞은 철도노동자들은 전국 각지에서 시위를 이어갔다. 조합원들은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도심 곳곳을 행진하며, 파업 사태의 책임이 있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규탄했다. 일부 조합원들은 국민의힘 지구당사 규탄 투쟁에도 참여하는 등 투쟁 수위를 높였다.
특히 철도노조는 대체인력 투입 이후 안전사고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대체 수송원의 신호 오류로 인한 입환 기관차 탈선과 출입문 취급 미숙으로 인한 아차사고 등이 파업 이전보다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노조는 필수유지업무 수행 중인 조합원들에게 안전 규정 준수를 당부하고, 관리자의 부당하거나 규정 위반 지시에 대해 즉시 보고할 것을 요청했다.
철도노조는 11일 조합원 1만여 명이 참가하는 제2차 상경투쟁을 예고했다. 또한 노사는 합법파업에 참여한 조합원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승진대상자 자료 제출 기한을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