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 7일 재개된 서울 시내버스 노조의 준법투쟁에도 불구하고 시민과 버스 업계의 협조 속에 큰 혼란 없이 대중교통 서비스가 유지됐다고 8일 밝혔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연휴가 끝난 뒤 첫차부터 준법투쟁(준법운행)을 재개한 7일 서울역 앞 버스환승센터 정류장에서 출근길 시민들이 버스에 탑승하고 있다. 2025.5.7 (연합뉴스)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 준법투쟁은 연휴 이후 진행되어 출근길 혼잡이 우려됐으나, 지난 4월 30일 첫 준법투쟁과 비교해 오히려 버스 이용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가 운행 횟수(42,459회) 대비 실제 운행 횟수(41,941회)는 518회가 부족해 98.8%의 높은 운행률을 유지했다. 특히 출근 시간대(07시~09시) 평균 버스 운행 속도는 4월 30일과 비교해 1.5% 증가하는 등 원활한 대중교통 흐름을 보였다.
서울시는 준법투쟁에 대비해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동하고, 고의 지연이 의심되는 운행 사례를 점검해 개별 회사에 통보했다.
또한 중앙버스전용차로에서의 '버스열차' 현상(여러 버스가 한꺼번에 정차하는 현상)에 즉각 대처하기 위해 명동, 강남, 홍대 입구 등 주요 정류소에 공무원을 배치해 현장 점검 및 계도 조치를 실시했다.
준법투쟁 당일 모니터링 결과, 배차간격 지연 72건, 비정상적 정류소 정차 10건 등 총 82건의 이상 징후를 발견했으나, 4월 30일 1차 준법투쟁 당시 90건보다 감소했다.
주요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소에서의 현장 점검 결과 의도적 장시간 정차 행위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앙버스차로에서의 버스 통행도 큰 혼란 없이 이루어졌다.
한편 서울시는 7일 '통상임금 관련 시‧도 공동 대책회의'를 개최해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이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지자체 간 협력 필요성을 논의했다.
이 회의에서는 특정 지자체의 임금협상 결과가 다른 지자체 협상에 선례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전국적 영향력을 고려한 공동 대책 마련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한 시‧도별 임금‧단체 협상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진행 과정에서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영향은 서울시만의 문제가 아닌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모든 지자체의 문제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공동 대응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큰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노조의 준법투쟁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서울시의 대응 사례를 다른 지자체에 적극적으로 공유하는 한편, 앞으로도 철저한 준비로 시민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