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지난해 1월부터 1년간 시행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교통사고와 민원 감소, 운행 정시성 향상 등 전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시내버스
경기도는 24일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를 시행 중인 315개 노선 2,142대를 대상으로 1년간의 종합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시내버스 교통사고는 2023년 1,070건에서 2024년 732건으로 32% 감소했으며,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접수된 민원은 1,895건에서 1,392건으로 27% 줄어들었다.
특히 버스 운행 서비스 측면에서 큰 개선이 이뤄졌다. 운행횟수 준수율은 2023년 88%에서 2024년 99%로 11%p 상승했고, 막차 시간 준수율도 84%에서 89%로 5%p 높아졌다. 31개 시군의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위반 행정처분 건수 역시 404건에서 342건으로 15% 감소했다.
교통약자를 위한 인프라도 개선됐다. 저상버스 보급률은 2023년 36%에서 2024년 49%로 13%p 증가했으며, 버스 차량의 평균 연식도 6.0년에서 5.7년으로 낮아져 차량 노후화 문제도 해소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가 지난해 1월부터 1년간 시행한 '시내버스 공공관리제'가 교통사고와 민원 감소, 운행 정시성 향상 등 전 분야에서 뚜렷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경기도 제공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는 버스 운영의 공적관리 강화를 핵심으로 하는 경기도형 준공영제다. 매년 노선 단위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3년 단위로 공공관리제 갱신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경기도는 2025년 1월 현재 339개 노선 2,255대를 공공관리제로 운영하고 있으며, 2027년까지 도내 전체 시내버스 1,649개 노선 6,187대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할 계획이다.
박노극 경기도 교통국장은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시행으로 버스 서비스의 질이 대폭 개선됐다"면서 "많은 재정이 투입되는 만큼 운송비용 절감 방안을 마련하고 공공성 확보를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는 이번 평가에서 나타난 미흡사항에 대한 개선계획을 포함해 서비스 개선, 재정 절감, 노선 개편, 공공성 확보 분야를 중심으로 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