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 9곳을 추가 지정하며, 전국 자율주행 실증기반을 더욱 확대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치로 국내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는 총 42개로 늘어났다.
서울 상암동 일대, 국내 첫 '완전 무인 자율주행 승용차' 운행 허가 [연합뉴스 자료사진]
신규 지정된 곳은 ▲경부·중부고속도로 등 358km 구간 ▲수원 광교 ▲경기 화성 ▲용인 동백 ▲충남 천안 ▲서울 동작 등 6곳이며, 기존 지정된 ▲경북 경주 ▲서울 중앙버스 전용차로 ▲충청권 광역교통망 등 3곳은 운영 구간이 확대됐다.
특히 고속도로 구간은 지난 7월 자율주행자동차법 개정 이후 처음으로 지정된 광역 시범운행지구로, 전체 고속도로 연장의 약 7%에 해당한다.
기존 지정 지역의 주요 변경 내용을 보면, ▲경주 보문관광단지는 운행구간을 3.15km 연장하고 셔틀 대수를 1대에서 3대로 확대했으며, ▲서울 중앙버스 전용차로는 새벽 첫차 버스 운영 노선을 확대했고, ▲충청권 광역교통망은 오송역에서 조치원역 구간에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셔틀 3대를 신규 투입하기로 했다.
2023년 시범운행지구 운영성과 평가 결과도 함께 발표되었는데, 충청권 광역교통망과 서울 상암이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충청권 광역교통망은 도로 BRT(90.3km)를 활용한 국내 최장 실증 지구로서 운영계획 이행도와 기반시설 관리가 우수했으며, 서울 상암은 교통약자 특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셔틀과 라스트마일 서비스 등 다양한 운영실적을 인정받아 2년 연속 A등급을 획득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자율주행 기술은 국민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미래 신기술"이라며, "고속도로 자율주행 화물운송과 같이 업계의 도전적인 기술 실증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행 제도가 실질적 규제로 작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지속 살펴보고 계속해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시범운행지구 확대가 2025년 APEC 정상회의에서 한국의 자율주행 기술을 세계에 선보이고, 시민들의 일상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를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