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버스노선 폐선과 준공영제 개편을 일방적으로 추진한다는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의 주장에 대해 해명자료를 내고 "이해관계자와의 충분한 협의를 바탕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버스차고지 자료사진
서울시는 12일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버스노선 폐선이 일방적이고 전격적이었다"는 주장에 대해 "운수업체와 수차례 협의는 물론 관계 지자체와 지역주민 의견을 수렴해 종합적 검토를 거쳤다"고 반박했다.
시는 올해 5개 노선을 폐선했지만, 간선 1개, 지선 2개, 맞춤버스 6개, 동행버스 4개 등 13개 노선을 신설해 오히려 교통소외지역 해소와 접근성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폐선된 노선들도 각각의 사유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106번과 542번은 대규모 재건축 단지 입주에 따른 새로운 교통수요 대응을 위한 것이며, 773번·9714번·704번은 경기도 소재 버스차고지 사용 제약으로 불가피했다는 것이다.
2026년까지의 전면 노선개편과 관련해서는 "버스 운행대수의 증감을 전제로 하지 않고 수도권 인구, 도시계획, 교통수요 등 데이터를 중심으로 제로베이스에서 분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준공영제 혁신방안 추진 과정에서 소통이 부족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올해 초부터 버스운송사업조합과 5차례 논의했고, 외부 전문가 의견 수렴, 시의회 설명, 시민 설문조사 등을 진행했다"고 답변했다.
시는 "앞으로 노동조합에게도 혁신방안에 대해 충분히 설명할 예정"이라며 "향후 노선 개편은 시민과 교통약자의 편의증진 등 공익을 우선해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