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심항공교통(UAM) 시대를 열기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2025년 상반기 여의도와 한강을 중심으로 실증운항을 시작으로, 2040년까지 서울 전역을 연결하는 도심항공교통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여의도 버티포트 실증사업 VP
서울시는 11일부터 이틀간 서울시청에서 'UAM·드론·AI 신기술 협력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서울형 도심항공교통(S-UAM) 미래 비전'을 발표했다. 오세훈 시장이 기조강연자로 나서 UAM 노선 등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했다.
시는 내년 상반기부터 킨텍스(고양)~김포공항~여의도공원․잠실~수서역, 2개 구간에서 실증운항을 시작한다. 20262030년 초기 상용화 단계에서는 여의도를 기점으로 김포공항잠실수서를 잇는 한강 전 구간 운항을 시작한다.
2030~2035년에는 한강과 4대 지천을 연결해 수도권을 잇는 광역 노선이 구축되며, 2035년 이후에는 주요 도심을 연계한 간선 체계 및 수요자 맞춤형 노선이 완성될 예정이다. 상암, 가산, 광화문, 왕십리, 상봉 등이 중간 거점으로 추가된다.
UAM 운항에 필수적인 이착륙장 '버티포트'는 2030년까지 여의도, 수서, 잠실, 김포공항 4개소에 주요 시설이 구축된다
UAM 운항에 필수적인 이착륙장 '버티포트'는 2030년까지 여의도, 수서, 잠실, 김포공항 4개소에 주요 시설이 구축된다. 시는 약 500곳을 검토해 1차적으로 30여 개소를 선정했으며, 규모에 따라 버티허브(대형), 버티포트(거점), 버티스탑(소형)으로 구분했다.
서울형 UAM이 완성되면 대중교통으로 1시간 걸리는 판교~광화문 구간을 15분 만에 주파할 수 있게 된다. 시는 수도권 내 통행시간 절감으로 연간 2.2조 원, 운송시장 규모 확대로 4조 원, 버티포트 구축으로 1.2조 원 등 총 7조 원대의 경제효과를 전망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 하늘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서울형 UAM 미래 비전'을 통해 도심 이동의 자유가 이제 구상이 아닌 '현실'로 거듭날 것"이라며 "서울이 세계적인 3차원 입체 교통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시와 육군이 협력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미래 교통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