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를 타는 이용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탑승자가 헬멧을 안 쓰거나 탑승 인원을 초과하는 등 불법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전국에서 운행 중인 전동킥보드 3258대의 탑승행태를 점검해 본 결과, 헬멧 착용률이 지난해 26.3%에서 올해는 19.2%로 대폭 하락했다.
전동킥보드를 타는 이용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가운데 탑승자가 헬멧을 안 쓰거나 탑승 인원을 초과하는 등 불법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교통일보 자료실)한명으로 제한된 탑승 인원을 초과해서 2~3명이 한꺼번에 전동킥보드를 타는 사례도 늘었다. 지난해 96.3%였던 탑승 인원 준수율이 92.7%로 3.6%p 감소한 것이다.
여러 명이 한꺼번에 한 대의 킥보드에 올라탈 경우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실제로 지난 5월 새벽에 서울 강남에서 전동킥보드에 함께 탔던 20대 2명이 차에 치여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이들은 헬멧도 쓰지 않았다.
주요 시·도별로는 세종시가 헬멧 착용률이 10%로 가장 낮았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헬멧 착용률이 40.3%로 최고였다. 탑승 인원 준수율은 경상남도가 98.8%로 가장 높았고, 세종시가 80%로 조사 대상 시·도 중 최하위였다. 세종시는 통행방향 준수율은 100%로 가장 높았다.
박래호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