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로 타격이 예상되는 지역 자동차부품 산업에 4265억 원 규모의 지원에 나선다.
부산시가 29일 오후, 부산 자동차산업 위기 극복 대응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시청 소회의실에서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제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을 열고 있다. (사진=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29일 오후 시청 소회의실에서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제5차 비상경제대책회의’을 열고 부산 자동차산업 위기 극복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자동차 관련 기업 5개사, 전문가, 대학, 유관기관 등에서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했다.
시는 이날 유동성 지원을 통한 관세 대응 지역기업 경영위기 극복, 차세대 선도기술 및 핵심 기반시설을 통한 미래차 생태계 고도화, 물류혁신 및 상생협력을 통한 자동차 부품산업 역량 강화 등 총 4265억 원 규모의 3대 전략과 7대 과제를 마련해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우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 원 규모의 시설투자금을 신속히 지원하고, 부품기업의 판로 확대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대체 부품 개발 지원 등 사업 다각화 및 마캐팅 지원을 확대해 나간다.
시는 또 미래차 시장 선점을 위한 차세대 선도기술 확보를 위해 인공지능(AI) 활용 미래차 전동화 요소 부품 기술산업화 지원사업, 자이언트 캐스팅 공용센터 구축을 통한 초대형 차체 일체화부품 개발 지원사업, 미래차 전용 플랫폼 지원 확장 현실(XR) 기반 가상모형(디지털트원) 시스테 구축, 미래차 에너지 저장 및 구동 부품소재 안전 성능·실증 기반 구축, 미래차 사이버 보완 검증 지원센터 구축 등을 추진한다.
아울러 부품기업의 물류비 절감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공공물류 플랫폼 구축과 자율주행 기반 스마트항만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물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외에도 시는 글로벌 미래차 허브 도약을 위해 부산 미래차산업 육성 단계별 로드맴 수립, 미래차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연구기관 분원 유치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박 시장은 “시는 지역 주력 산업인 자동차산업의 생존을 넘어 미래차 산업으로 전환을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민간기업과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차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자”고 말했다.
윤영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