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는 3월 8일(토) 대규모 도심 집회가 예고된 가운데 시민 안전을 위한 특별관리 대책을 시행하고, 탄핵 심판 선고일에는 헌법재판소 인근 3호선 안국역 폐쇄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3·1절 집회 당시 시청역 앞에 모인 집회 참가자들
지난 3·1절 집회 당시 시청역, 광화문역, 여의도역의 승하차 인원이 평시 대비 2배가량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특히 5호선 광화문역은 인파 급증으로 무정차 통과가 1회 시행됐으며, 일부 출구 폐쇄 조치도 취해졌다. 당시 시청역은 평시 대비 201%, 광화문역은 184%, 여의도역은 198%의 이용객이 몰렸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대규모 집회에 대비해 본사 재난상황실과 집회 현장 현장지휘소를 구성하여 안전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인파 밀집이 예상되는 1·2호선 시청역, 3호선 안국역·경복궁역, 5호선 광화문역·여의도역·여의나루역 등 총 7개 역사에 평상시보다 191명 많은 232명의 안전 인력을 집중 배치한다.
집회 당일 해당 역사는 승객 유입 상황에 따라 무정차 통과 및 출입구 봉쇄 등의 조치가 시행될 수 있다. 역사 내부에 인파가 밀집할 경우 출입 통로 순차 통제 및 에스컬레이터 정지 등의 안전사고 예방조치도 병행될 예정이다. 또한 혼잡 완화를 위해 2호선과 5호선에 각 2대씩, 총 4대의 비상대기열차를 편성하여 운행할 방침이다.
역사 및 열차 운영에 관한 모든 공지 사항은 행선안내게시기, 서울교통공사 공식 홈페이지와 SNS, '또타지하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안내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는 행정안전부, 서울시, 경찰청, 자치구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역사 출입구 주변에는 경찰이 배치되어 질서 유지를 담당하며, 무정차 통과 및 출입구 통제 등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경찰에 추가 지원 인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특히 탄핵 심판 선고일에는 인파 밀집으로 인한 극도의 혼잡 상황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우려될 경우, 헌법재판소가 위치한 3호선 안국역을 폐쇄할 예정이다. 안국역 폐쇄 시에는 인근 종로3가역 및 종각역 등에 대한 혼잡 관리 대책도 함께 시행될 방침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대규모 도심 집회에 대비해 공사의 자원을 총동원하여 최고 수준의 대응을 계획하고 있다"라며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인파 밀집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