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TS)이 운영하는 교통안전 공익제보단이 지난 5년간(2020년~2024년 11월 말) 이륜차 법규위반 행위 96만 8,435건을 적발해 안전한 이륜차 운행환경 조성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 교통안전 공익제보단 이륜차 신호위반 제보 사진 (사진=한국교통안전공단 제공)
한국교통안전공단은 2020년 5월부터 국민 참여형 교통안전 감시체계인 '교통안전 공익제보단'을 운영해오고 있다.
정부 단독 시행의 단속과 홍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이 제도는 매년 약 5천여 명의 시민이 참여해 이륜차의 교통법규 위반 행위를 감시하고 있다.
공익제보단이 신고할 수 있는 항목은 신호위반, 인도주행, 중앙선침범, 유턴·횡단·후진위반, 보행자보호의무위반, 안전모 미착용 등 6개 도로교통법 위반 사항과 번호판 가림 및 훼손이다.
5년간 접수된 신고를 분석한 결과, 신호 또는 지시 위반이 48만 1,121건(49.7%)으로 가장 많았으며, 보·차도 보도통행 14.2%, 중앙선침범 13.0%, 인명보호장구 미착용 8.8% 순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신고 건수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2020년 4만 7,007건이었던 신고 건수는 2021년 19만 6,749건, 2022년 23만 3,539건, 2023년에는 26만 7,916건까지 증가했다. 2024년의 경우 11월 말까지 22만 3,224건이 접수됐다.
2024년 공익제보단의 활동은 더욱 활발했다. 전체 4,953명의 제보단원 중 상위 100명의 평균 제보 건수는 569건으로, 전체 평균(108건)의 5.3배에 달했다.
가장 적극적인 제보자는 한 해 동안 2,991건을 신고했으며,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제보자들에게 총 11.6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정용식 한국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이륜차 운전자의 위험운전으로 인한 국민의 불안감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며 "올해도 국민과 함께하는 교통안전 공익제보단 운영을 통해 안전한 이륜차 교통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