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대전조차장을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선도사업으로 선정한 가운데,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는 50년 숙원사업 해결을 환영하면서도 사업 추진 과정에서 지방정부의 재정부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정부가 대전조차장을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선도사업으로 선정한 가운데, 지역 정치권과 자치단체는 50년 숙원사업 해결을 환영했다.
최충규 대덕구청장은 19일 "대덕의 50년 숙원이 마침내 해결점을 찾아 감개무량하다"며 환영 입장을 밝혔다. 특히 "대전시가 제안한 '상부 데크화'를 중심으로 한 입체화 개발 방식이 사업 선정에 결정적 요인이 된 것 같다"며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의 노력을 높이 평가했다.
국민의힘 대전광역시당도 이날 논평을 통해 "50년 대전 시민의 숙원이었던 대전 조차장 이전과 입체화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것"을 환영하며, 집권 여당으로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대전시청, 대덕구청과 협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대전 대덕구 국회의원은 "1조 4천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 침체한 대전 지역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면서도 정부의 재정지원 부재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특히 "정부출자기업 등이 철도부지를 담보로 '철도지하화통합개발채권'을 발행해 민간 자본시장에서 비용을 조달하더라도 사업성이 떨어지면 지방정부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전조차장은 도시 팽창으로 인한 도심 내 동서 단절, 개발 제한 등으로 인근지역 슬럼화가 가속화되어왔다. 이번 사업을 통해 조차장은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인근으로 이전되고, 기존 부지는 청년 창업과 빅테크·미디어 중심의 IT 특화지구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박정현 의원은 "정부와 대전시는 대전조차장 개발사업이 개발이익은 소수가 누리고 시민은 부담만 지는 졸속 추진이 되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 써주길 바란다"며 신중한 사업 추진을 당부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