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인력감축과 1인 승무제 도입 철회 등을 요구하며 12월 6일 총파업을 예고했다. 철도노조도 12월 초 무기한 총파업을 선언해 수도권 대중교통 운행 차질이 우려된다.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이 19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총력투쟁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제1노조인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은 19일 서울시청 앞 기자회견에서 ▲구조조정 철회 및 인력 운영 정상화 ▲1인 승무제 도입 중단 ▲산업재해 예방 및 근본 대책 수립 ▲부당 임금 삭감 문제 해결 등을 요구하며 파업 일정을 발표했다.
노조는 "올해 잇달아 발생한 중대재해 산재 사망사고, 뒤늦게 드러난 혈액암 집단 발병 사태에 이르기까지 지하철 노동 현장은 불안과 두려움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구조조정을 강요하며 신규 채용까지 틀어막아 심각한 '업무 공백-인력난'에 부닥치게 됐다"고 주장했다.
임금 인상을 둘러싼 노사 간 입장차도 좁혀지지 않고 있다. 공사는 정부 지침에 따라 내년 임금 인상률 2.5%를 제시했으나, 노조는 총인건비 제도의 구조적 문제로 정부의 공공기관 임금인상 지침조차 지켜지지 못하고 있다며 더 높은 인상률을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지난 15~18일 진행한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71%의 찬성률을 기록했으며, 20일부터 준법 운행, 2인1조 작업 준수 등 단체행동에 돌입한다.
김태균 위원장은 "노조의 투쟁 목적은 열차를 멈추는 것이 아니라 위험하고 잘못된 정책을 멈추고자 하는 것"이라며 "요구에 응하지 않고 대화조차 거부한다면 12월 6일 총파업 총력 투쟁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공사의 제2노조인 서울교통공사통합노조와 제3노조인 서울교통공사 올바른노동조합도 쟁의행위를 위한 절차를 밟고 있어 파업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철도노조 역시 18일부터 준법투쟁을 시작해 수도권 전철 등 일부 구간에서 열차 운행이 지연되고 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