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대구광역시가 10년 만에 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들어간다.
대구시는 2015년 시내버스 개편 후 대중교통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선 체계 개편 초안을 확정하고 시민단체, 학계, 연구기관 외부 전문가 및 관련업에.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5일 중간 보고회를 가졌다.
시는 2015년 시내버스 개편 후 대중교통 여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선 체계 개편 초안을 확정하고 시민단체, 학계, 연구기관 외부 전문가 및 관련업에.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5일 중간 보고회를 가졌다.
시 대중교통 정책은 도시철도 1~3호선 개통과 함께 대규모 노선 체계 개편을 시행했으며, 이번 4차 개편은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 도시철도 1호선 하양 연장, 대규모 주택단지, 신규 산단 등 도시여건 변화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시는 1차 개편(’98년 95개 노선, 1,719대) 후 현재 시내버스 노선 수(122개)는 27개 증가했으나, 운행 대수(1,566대)는 153대 감소해 수요·공급 최적화, 정류소, 배차간격 등 노선 효율화가 필요한 상태다.
이에 대구시는 지난 ’22. 10 월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 용역에 착수해, 그간 교통카드 연관 빅데이터(183,697,731건) 분석, 이해관계자 설문조사 등을 거쳐 도시철도 중복노선 조정, 굴곡·장거리 노선 개선, 신규 산단·주택단지에 증차 없이 교통접근성 개선 등 서비스 지역을 확대한 노선 개편 초안을 마련했다.
이날 중간 보고회에는 대구시는 물론, 시내버스 운송 사업 조합, 버스노동조합, 시민단체, 학계, 연구기관,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주요 개편 방향·사례 등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이에 시는 앞으로 의회 및 주민설명회(10월), 용역 최종 보고회 및 개편안 확정(12월), 홍보 및 시행 준비(’25.1~2월) 등을 거쳐 내년 2월 말 개편을 시행할 계획이다.
허준석 대구광역시 교통국장은 “대중교통 변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증차 없는 노선 개편을 통해 준공영제 운영비용 상승은 최대한 억제하고, 신규서비스 지역 확대, 배차간격, 중복도 및 굴곡도 등을 개선해 대중교통 서비스 향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