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동결과 고용불안을 명분으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노련)이 시민들의 발목을 묶는 방식의 총파업 예고에 나서고 있어 또다시 교통대란이 일어나지 않을까 시민들이 초조해 하고 있다.
19일 자노련은 지난 18, 19일 양일간 진행한 산하조직의 파업 찬반투표 결과 압도적인 찬성으로 총파업을 가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자노련은 오는 25일로 예정된 최종 조정에 실패할 경우 그 바로 다음날인 26일 첫차부터 파업에 돌입하게 된다.
이날 자노련에 따르면 이번 찬반투표에는 총 10개 지역 207개 사업장 소속 3만9189명의 버스 운전기사가 참여해 찬성 3만774명(96.3%)으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임금동결과 고용불안을 명분으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노련)이 시민들의 발목을 묶는 방식의 총파업 예고에 나서고 있어 또다시 교통대란이 일어나지 않을까 시민들이 초조해 하고 있다.(사진=교통일보 자료실)지역별 찬성률은 서울 98.1%, 부산 96.7%, 대구 97.5%, 광주 78.0%, 경기 96.2%, 전북 94.1%, 전남 93.9%, 경남 93.1%, 충북 85.9%, 강원 97.3%로 나타났다.
자노련 산하 조합원은 4만5000여명으로, 전국 500여개 업체의 4만5000여대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총파업에 나서는 이유에 대해서 자노련은 “코로나 이후 버스노동자들은 임금 동결과 고용 불안 속에서 고통 전가만을 강요당해 왔고, 이제 더는 물러설 곳이 없기에 멈출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지만, 공공에 기대 운영되는 버스운수업의 특성상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관심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코로나로 고통받고 있는 국민과 생계절벽에 부딛힌 우리 버스노동자들의 심정이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고 전제하면서 “파업이라는 최악의 상황에 도달하지 않도록 25일 조정회의 때까지 최선을 다해 교섭에 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찬반투표에 참여하지 못한 인천, 대전 등 일부 지역의 경우도 교섭에 난항을 거듭하고 있어 합의점에 이르지 못하면 추가로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