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표그룹이 임직원 안전의식 제고와 현장 위험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실시했다.
삼표그룹이 지난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열고 안전 최우선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안전보건을 강조하며 체계적 운영 방침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사진=삼표그룹 제공]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은 지난 25일 서울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2025년 임원 안전 세션’을 열고 시멘트, 레미콘, 골재, 철도, 콘크리트, 환경자원, 건설소재 등 7개 부문에 걸쳐 맞춤형 안전 교육을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교육에서는 각 사업 부문별로 실질적인 위험요소 분석과 안전 대응 방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
특히 시멘트 부문에서는 ‘작업자 스스로 지키는 안전문화’를 주제로, 작업자가 직접 위험성 평가와 안전작업표준서를 작성하고 동료와의 상호보완적 소통을 통해 자발적인 안전 실천을 유도하는 방식이 강조됐다.
레미콘 부문은 안전 성숙도 목표를 기존 ‘의존적’ 단계에서 ‘독립적’ 단계로 상향 설정했으며, 경영진이 주도하는 ‘가시적 체감 리더십(VFL)’ 활동을 확대 운영한다.
콘크리트 부문은 안전 점검 항목을 수치화한 ‘8행 5금’ 체크리스트를 도입해 자재 입고부터 출하까지 전 공정에 걸친 위험 요인 예측 체계를 구축했다.
골재 부문은 작업 전 안전점검회의(TBM)를 정례화하고 작업방법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동영상 자료를 제작해 공유함으로써, 산업재해 예방 활동을 실질화한다.
철도 부문은 불티 비산 방지 및 유압유 누유 점검 등 설비별 ‘5 POINT 안전점검표’와 위험 예지 훈련을 현장에 정착시키는 데 주력한다.
이외에도 환경자원 부문은 협력사 직원 중심의 안전 워크숍을 통해 자율 참여를 이끌어내고, 건설소재 부문은 안전 감시단을 운영해 현장 수시 점검과 밀착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삼표그룹은 향후 업계 최초로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을 접목한 안전 시스템을 도입해 각 공장별 맞춤형 관제 시스템을 통해 작업장 내 위험 요소를 실시간 분석하고 종합적인 안전관리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삼표그룹 관계자는 “각 부문 산업현장에서 위험성 평가를 상시적으로 강화해 안전관리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고 있다”며 “임직원 간 긴밀한 소통과 철저한 교차 점검을 통해 자율적 안전 실천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