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도구 태종대를 출발해 남구 경성대·부경대역까지 해안선을 따라 원도심을 잇는 친환경 트램 노선 ‘부산항선’이 추진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 21일 부산시청에서 부산도시철도 부산항선 구축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 지난 21일 ‘부산도시철도 부산항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고, 원도심을 15분 생활권으로 연결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부산항선은 영도선, 우암감만선과 북항재개발 구간에 포함된 C베이(C-Bay)선을 통합해 조정한 노선이다. 영도선과 우암감만선은 경제적 타당성이 부족해 추진이 어려웠는데, 3개 노선을 통합해 건설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사업성을 확보했다.
부산항선은 영도구 태종대를 시점으로 한국해양대, 중앙역(1호선), 북항재개발지구, 범일역(1호선), 문현역(2호선), 우암동과 감만동, 용호동 입구를 거쳐 경성대·부경대역(2호선)까지 연결된다.
총연장 24.21㎢, 정거장은 41곳이다. 총사업비는 7240억 원으로 예상된다. 경유 지역 일대가 도심이자 해안선을 따라 운행되는 점을 고려해 친환경 수소연료전지 방식의 무가선 노면전차(트램)를 도입한다.
시는 부산항선 건설을 통해 원도심 일대를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의 중심지로 재탄생시킨다는 구상이다. 부산항, 북항재개발지구, 국제여객터미널, 부산역 등 관문 시설을 연결해 해안선을 관광 상품화한다.
또 부산항선을 주거, 업무, 쇼핑, 의료, 교육, 문화 등 각종 생활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15분 도시’의 풀랫폼으로 조성한다.
아울러 부산역, 북항재개발과 연계한 대중교통 중심 개발 종합계획을 수립, 정거장 중심의 고밀도 복합개발과 보행자 우선 공간 조성으로 상권 활성화, 일자리 창출, 경쟁력 강화를 꾀한다.
시는 부산항선을 ‘제2차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2026~2035년)’에 반영한 뒤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원도심 주민과 각 구의 의견을 반영해 부산항선의 최종 노선계획을 결정했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항선은 단순한 교통 기반 인프라 확충을 넘어 부산의 미래 성장 동력을 견인하는 핵심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며 “시민 모두가 편리하게 누릴 수 있는 도시철도를 건설해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윤영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