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노인 보행 교통사고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 노인보호구역 확대 방안 연구'를 바탕으로 기존 노인복지시설 중심에서 전통시장, 의료기관, 약국 등으로 노인보호구역을 확대 지정하고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
경기도가 노인 보행 교통사고 증가에 대응해 노인보호구역을 확대하고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뒷받침으로 어린이 보행 교통사고는 감소하고 있지만, 노인 보행 교통사고는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경기도는 '경기도 노인보호구역 확대 방안 연구'를 추진, 노인 안전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도로교통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노인 보행 교통사고는 매달 평균 887건에 달한다. 2023년 기준 보행자 사고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25.7%로, 어린이(7.9%)보다 3배 이상 높다.
2019년 대비 2023년 전체 보행 교통사고 건수 대비 어린이 보행 교통사고 비율은 연평균 3.5% 감소한 반면, 노인 보행 교통사고는 연평균 3.0% 증가하는 추세다.
2023년 기준 전국 어린이·노인 보행자 교통사고의 96%는 보호구역 외에서 발생하며, 이 중 84%가 노인 보행 교통사고다. 어린이보호구역 못지않게 노인보호구역 확대 설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인구 수 대비 보호구역 개수 차이도 심각하다. 2023년 기준 어린이 인구 1만 명당 어린이보호구역은 21.5개인 반면, 노인 인구 1만 명당 노인보호구역은 2.2개에 불과하다.
경기도 65세 이상 노인 인구 증가율은 2019년 165만 명에서 2023년 212만 명으로 연평균 6.5% 수준이다. 이는 전국 평균 4.9%보다 높은 수치다. 경기도 보행 교통사고 4건 중 1건(24.2%)은 노인 보행 교통사고이며, 특히 증가 추세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재 경기도 노인보호구역은 2024년 기준 595개소로, 설치 지역은 노인복지시설 인근이 98.7%로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근 3년간(2021~2023년) 노인 보행 교통사고는 주로 약국, 시장, 지하철역 주변에서 발생했다.
따라서 노인복지시설이나 공원 위주로 지정된 노인보호구역을 전통시장, 의료기관, 약국 주변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에 경기도는 노인보호구역 확대를 위한 교통약자 보호구역 교통안전 관리 표준 조례안을 마련하여 시군에 제공하고, 노인보호구역 확대 지정 구역에는 보호구역 표지, 속도 제한 노면 표지, 무인 교통 단속 장비, 고원식 횡단보도, 과속 방지턱 등 교통안전시설을 확대 설치할 예정이다.
허태행 경기도 도로안전과장은 "노인 활동이 많은 전통시장, 약국·병원, 지하철역 주변을 노인보호구역으로 확대 지정하고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경기도 노인보호구역 확대 방안 연구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경기연구원에서 노인 카드 사용 내역 등을 분석하여 수행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