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민의 숙원 사업인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이 3월 말 첫 삽을 뜬다. 대전시는 공사 기간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별 교통 대책을 가동한다.
대전 시민의 숙원 사업인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이 3월 말 첫 삽을 뜬다.
가장 먼저 착공하는 구간은 중리네거리에서 신탄진 방면, 충남대 앞에서 도안동 방면이다. 올해 상반기까지 나머지 구간도 공사 발주 및 시공 업체 선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14개 공사 구간에서 단계별로 20개 대책이 추진되며,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평균 통행 속도를 기준으로 3단계에 걸쳐 대응 전략을 시행한다.
3월 말 1단계 시작, 속도 따라 2·3단계 도입… 다인승 전용차로 시범 운영
3월 말부터 시작되는 1단계에서는 시차 출근제, 승용차 요일제, 대중교통 집중 배차, 개인 이동 장치 이용 활성화 등을 권고한다.
66개 우회 경로를 집중 관리하고, 대전천 하천 도로를 활용하며, 천변 고속화도로 버스 전용차로 24시간 단속을 한시적으로 유예한다. 또한 교통 예보제와 120 콜센터를 운영해 실시간 교통 민원에 대응한다.
평균 통행 속도가 20km/h로 감소하는 2단계에서는 인센티브와 함께 약한 규제 정책을 시행한다. 외곽 순환형 고속도로망을 활용해 차량 흐름을 분산하고, 다인승 전용차로를 시범 도입한다. 출퇴근 시간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도 추가 지원한다.
통행 속도가 15km/h 이하로 극심한 교통 체증이 예상되는 3단계에서는 고속도로 통행료 지원 구간을 확대하고, K-패스 추가 지원금을 지급한다. 공공 기관부터 승용차 2부제를 시행하고, 주차장 유료화 및 요금 인상 등을 추진한다.
첨단 교통 정보 시스템 활용… “시민 불편 최소화 최선”
시는 교통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첨단 교통 정보 시스템을 적극 활용한다. 방송, SNS, 전광판 등을 통해 교통 상황 예보제를 시행하고, 교통 지도 애플리케이션으로 실시간 최적 경로를 안내한다. 공사 구간은 상시 모니터링하여 교통 신호 체계를 최적화할 계획이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대전 시민이 오랜 시간 기다려 온 도시철도 2호선이 마침내 현실화하는 순간을 맞이했다”며 “공사로 인한 불가피한 부분이 예상되지만, 대전의 미래 교통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시민 불편을 줄이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시민 여러분의 너그러운 양해와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라고 덧붙였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