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14일 서울역에서 도로분야 전문가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도로 설계단계부터 교통 가치공학(VE)을 도입해 교통정체를 줄이고 안전성을 강화하는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고속도로 나들목 진출입부 원형교차로에 대한 교통흐름 사전 시뮬레이션
본문: 이번에 발표된 개선방안의 핵심은 도로 설계단계에서부터 교통정체와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치공학을 도입하는 것이다. 가치공학은 성능향상과 원가절감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들의 분석을 거쳐 기존 설계를 변경하는 기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도로의 노선선형과 용량을 결정하는 기본설계 단계부터 교통 가치공학 절차를 신설해 교통 및 안전전문가들의 자문을 받게 된다. 또한 기존에 평일 위주로 분석하던 교통수요 방식을 개선해 주말 교통량 증가도 설계에 반영하기로 했다.
특히 도로 건설 이후 조성되는 주거단지나 산업단지, 관광지 등의 개발계획을 설계단계에서 미리 반영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자체 등의 의견조회를 통해 각종 개발계획을 확보하고 교통수요 예측에 반영할 방침이다.
나들목(IC)과 분기점(JCT) 엇갈림 구간, 분합류 구간 등 교통혼잡과 사고위험이 우려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분석을 의무화했다. 이를 통해 설계단계에서부터 잠재적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우제 국토교통부 도로국장은 "교통정체와 도로 주행의 위험요소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로건설의 시작인 설계단계에서부터 도로의 용량과 선형 등을 보다 꼼꼼하게 디자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앞으로도 관련 전문가들과 기업인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도로의 이용성 개선 사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보다 나은 교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개선방안을 향후 착수하는 모든 고속도로 설계에 반영할 계획이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