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서울 지하철 승객의 안전한 승강기 이용을 돕고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니어 승강기안전단' 582명을 선발해 49개 주요 역사에 배치한다고 7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시니어 승강기안전단` 582명을 선발하고, 서울 지하철 49개 주요 역사에 배치한다고 7일 밝혔다. 2025년 시니어 승강기안전단 참여자 통합교육.
시니어 승강기안전단은 2022년 10개 역사 65명 규모로 시작해 지난해 491명, 올해 582명으로 크게 확대됐다.
안전단은 승강기 점검과 올바른 이용 안내, 응급상황 발생 시 초동 조치, 역사 내 길 안내 등을 담당한다. 지난해에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에서 안전단 참여자가 쓰러진 승객에게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생명을 구하기도 했다.
서울교통공사는 안전단 배치에 앞서 3일부터 6일까지 승강기 기본 운영 원리, 응급조치 및 심폐소생술, 서비스 응대 등의 직무 교육을 실시했다.
선발된 안전단은 11월까지 3개 조로 나뉘어 주 5일, 하루 3시간씩 근무하게 되며, 원활한 근무를 위해 시니어클럽과 복지관 등을 통해 교육과 휴게공간 등을 지원받는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승강기 안전사고 예방과 어르신들의 양질의 일자리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노인 일자리를 지속 발굴하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근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서울지역본부장은 "시민들의 안전과 편의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