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전 기온이 전국적으로 영하 10도 안팎까지 떨어지면서 배터리 방전 등으로 차에 시동이 안 걸려 애를 먹는 불상사가 주위에서 목격된다.
기온이 크게 내려가는 겨울철엔 배터리 충전 상태 확인은 물론 부동액, 타이어 마모 상태 등에 운전자들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사진=교통일보 자료실)기온이 크게 내려가는 겨울철엔 배터리 충전 상태 확인은 물론 부동액, 타이어 마모 상태 등에 운전자들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날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는 차량 부품별로 겨울철 차량 관리 요령을 내놨다.
▲배터리 점검
겨울철엔 헤드라이트와 히터, 열선시트, 열선 핸들 등 각종 전기장치를 자주 사용해 전력 소모가 많아지면서 배터리 방전이 잘 된다. 계기판 경고등 혹은 블랙박스 액정을 통해 전압을 확인할 수 있다. 주행 중에 14볼트 안팎을 나타내면 정상이다.
배터리 점검창을 통해 충전상태(녹색 정상)를 확인하거나, 가까운 정비소에서 전압 확인을 통해 조언을 얻는 방법도 좋다. 3~4년, 6만 km의 주기가 되었다면 교환을 고려해야 한다. 기온이 낮고 블랙박스가 작동하면서 장시간 주차해 둘 경우 배터리 방전이 되기도 한다. 방전이 되면 보험회사 등의 긴급 출동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방전이 반복되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든다.
▲부동액 점검
동파 방지의 중요한 역할을 해주는 부동액 확인도 중요하다. 여름철 냉각수가 부족해 물만 보충했던 경우라면, 부동액 비중이 작아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정비소를 방문했을 때 부동액의 비중 점검을 해보고 비중이 작으면 부동액 원액을 보충하거나 교환하는 등의 조언을 얻는 것이 좋다.
또한 냉각수가 순환하는 히터 호스와 라디에이터 호스를 확인해야 한다. 부동액이 새는 부위는 없는지, 호스의 고무 부위 탄성이 떨어져 딱딱해진 부분은 없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통상적인 부동액 교환 주기는 2년에 4만 km인데, 최근에 출고된 차들은 사계절용으로 5년 10만 km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설명서를 보거나 제조사에 문의해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타이어 마모 점검
타이어의 마모 상태 점검도 중요하다. 눈이나 비가 올 경우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심할수록 미끄러지는 현상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요즘 도심 주행 시에는 스노우 체인을 하는 경우가 거의 없지만, 후륜 구동 차의 경우 스노우타이어 교체나 사계절용 타이어를 추천한다. 많은 타이어 전문점에서 스노우타이어 교체 시 기존 타이어를 겨울철에 보관해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와이퍼와 워셔액 점검
겨울철에는 눈과 성에 낀 유리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 작동 시 소음과 유리의 손상도 초래할 수 있다. 시동 후 예열을 하는 것처럼 와이퍼 작동도 앞 유리로 히터를 켜거나, 차종에 따라 앞 유리 열선 등을 활용해 최대한 따뜻하게 녹이고 작동하는 것이 좋다. 워셔액도 마찬가지다. 워셔액이 얼어 작동하지 않고 와이퍼 모터의 고장도 초래할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이에 겨울철에 덜 딱딱해지는 실리콘 재질의 와이퍼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다.
▲엔진오일, 브레이크 기능 점검
자동차 기본 소모품 점검인 엔진오일 등 각종 오일류는 오래 사용하게 되면 점도와 윤활 성능이 떨어진다. 교환 시기가 어느 정도 남았더라도 조금 앞당겨 미리 교환하는 것이 좋다. 브레이크 디스크, 패드 등의 부분도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기에 겨울철 정기 점검이 필요하다.
김남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