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주유소에서 주유하고 있는 수소자동차. (교통일보 자료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022년을 ‘미래차 대중화의 원년’으로 삼고 미래차 보급에 속도를 내겠다고 30일 선언했다. 그는 “2025년까지 전기차, 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에 20조 이상 투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문 대통령은 현대차 울산공장을 찾아 “미래차는 자동차 산업의 판도를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고 평가하며 “전기차 업체인 테슬라가 글로벌 자동차 기업을 제치고 기업가치 1위로 올라섰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2030년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를 향해 성큼성큼 나아가고 있다”며 “향후 5년이 미래차 시장을 선도하는 골든타임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미래차 산업생태계를 위한 3대 육성전략을 소개했다. 각각 미래차 보급 확대, 수출주력산업의 육성 및 일자리 확대, 미래차 중심의 산업생태계 전환 등이다.
문 대통령은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하고 북미·유럽·중국시장 진출을 촉진하겠다”며 “2차 전지 소재·부품·장비를 연 매출 13조원의 신산업으로 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율주행차에 대해서도 “2027년 세계최초로 레벨4 수준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할 것”이라며 “사업재편지원단을 만들어 2030년까지 1000개의 자동차 부품기업이 미래차 사업으로 전환하도록 돕겠다”고 약속했다.
강석우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