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울시 불법택시 신고자 14명이 포상금 66% 받아
  • 이호돌 기자
  • 등록 2014-10-09 07:22:40

기사수정
  • ‘법인택시 차고지 밖 관리 운영’ 신고가 대부분
서울시가 택시 불법 영업 신고에 대해 지급한 포상금의 66%가 전문 신고자, 일명 '파파라치' 14명에게 돌아간 것으로 집계됐다.

8일 서울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서울시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위반 행위 신고포상금 제도를 시작한 2008년 4월부터 올해 9월까지 6년 6개월 동안 총 6억 487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했다.

신고 대부분을 차지한 위반 사항은 '법인 택시 차고지 밖 관리운영'으로 총 638건 신고에 6억 3400만원이 지급됐다.

서울시는 근로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제3자에게 택시를 위탁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택시가 차고지 안에서 관리되는지 여부를 단속하고 있다.

이 외에 개인택시 부제 위반 31건(620만원), 개인택시 불법 대리운전 5건(500만원), 무면허 개인택시 1건(100만원), 법인택시 명의이용금지 위반 1건(200만원),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부당요금 징수행위 1건(50만원) 등이었다.

서울시가 포상금제를 운영한 이후 1500만원 이상의 포상금을 받은 신고자는 총 14명이었다.

이모씨는 2008년 차고지 밖에서 관리되고 있는 택시를 14회 신고한 것을 비롯해 최근까지 총 53회 신고해 5300만원을 받았다.

신모씨는 51회 신고로 5100만원, 임모씨는 44회 신고로 4400만원, 오모씨는 37회 신고로 3700만원을 각각 수령했다.

14명이 받은 포상금을 합하면 총 4억 3000만원에 달한다. 이는 지금까지 지급된 전체 포상금의 66%에 해당하는 액수다.

포상금 지급은 제도 도입 초기인 2008년 69건에서 시작해 2009년 112건, 2010년 37건, 2011년 66건, 2012년 38건, 2013년 93건 등으로 100건 안팎 수준을 유지해왔으나 올해는 현재까지 262건으로 크게 늘었다.

'불법 택시 신고가 돈벌이가 된다'는 소문이 지난해 퍼지면서 포상금을 타려는 신고자들이 크게 늘었고, 작년에 접수된 신고 건에 대한 포상금이 올해 대부분 지급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포상금 지급이 갑자기 많이 늘어나자 서울시는 올해부터 '차고지 밖 관리금지' 신고에 대한 포상금을 10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줄였다.

무면허 개인택시(100만원), 법인택시 명의이용금지 위반(200만원), 개인택시 부제 위반(200만원) 등에 대한 신고 포상금 지급 규정은 그대로 뒀다.

포상금을 5000만원 넘게 받은 전문 신고자들이 나옴에 따라 시 내부에서는 1인당 받을 수 있는 최대 포상금을 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화물 자동차의 불법 행위에 대한 신고는 1인당 받을 수 있는 최대 포상금이 정해져 있는데 택시에 대해서는 규정이 없다"며 "조례 개정을 통해 상한선을 신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TAG

프로필이미지

이호돌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장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 창동차량기지서 열차 구원연결 합동훈련 실시 서울교통공사는 9일 창동차량기지에서 한국철도공사와 합동으로 열차 구원연결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직통운행에 관한 협약에 따라 1·3·4호선을 공동 운행하고 있는 양 공사는 열차 비상상황 발생 시 대응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구원연결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구원연결은 열차에 장애가 발생해 운행하지 못하게 ...
  2. 서울·경기 개인택시 면허 발급, 연장자 우선에서 추첨으로 바뀐다 서울, 경기 등 10개 지방자치단체에서 개인택시 운송사업 면허를 발급할 때, 동일한 경력일 경우 연장자를 우선으로 하던 규정이 폐지되고, 앞으로는 추첨 방식으로 결정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치법규 개정을 13일 발표하며, 불합리한 진입 규제를 해소해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개인택시 ..
  3. "나도 모르게 사라지는 교통카드 충전금액"…'국민생각함'에서 개선방안 찾는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유철환)가 교통카드 등 선불전자지급수단에 충전한 이용자의 선불금이 소멸하는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한다.설문조사는 온라인 국민 소통창구인 「국민생각함」에서 오늘부터 21일까지 총 10일간 진행된다.전자금융거래 활성화로 '24년 상반기 기준 선불전자지급수단(페이, ...
  4. TS "자동차 긴급제동장치 맹신 위험…운전자 전방주시 필수" 한국교통안전공단(TS, 이사장 정용식)이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한계를 명확히 지적하며, 운전자들에게 ADAS 이용 시에도 전방주시 의무를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14일 강조했다. TS는 자동차 전문 채널 오토뷰와 공동으로 진행한 긴급자동제동장치(AEBS) 작동 시험 결과를 이날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AEBS는 차량 주행 중 전방 충돌 위험..
  5. 서울 버스노조 "통상임금 침해 말라"…26일 파업 출정식 예고 서울 시내버스 임단협 협상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버스노조가 서울시와 사측의 통상임금 문제 제기를 교섭 파행의 원인으로 지목하며, 오는 26일 파업 출정식을 예고했다.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14일 오전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앞 인도에서 '단체교섭 승리!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서울시와 사용자 측...
  6. 부산 구·군 화물운수종사자 유류구매카드 발급 엄격해진다 화물자동차 유가보조금 관리 규정에 따른 유류구매카드 발급 승인 시 화물 단체가 발급하는 화물운송 종사자격증명을 확인한 후 발급하는 등 부산 구·군의 화물운수종사자 유류구매카드 발급이 엄격해진다.유류구매카드 발급 승인 시 화물운송 종사자격증명을 확인한 후 발급하게 되면 그동안 관련법상 의무화된 화물운전자 취업 관...
  7. “서부산권 산업단지에 중고차 대단지 조성을 위한 적정 규모 부지 제공 해야” 부산지역 자동차매매업계가 △대단위 중고차 매매단지 조성을 위한 부지 제공 △부산신항 배후 지역 중고차 수출 복합단지 조성 △온라인 경매사이트 플랫폼 개발·운영 홍보 등 중고차 산업 육성 지원을 요구하고 나섰다.부산시자동차매매조합은 19일 부산시청 7층 의전실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면담하고 이 같은 ‘정책 사업&rsqu...
  8. 서울시, 상암동 일대 '서울형 3D 자율주행 정밀도로지도' 시범 구축 서울시가 7월 말까지 마포구 상암동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20km 구간에 대해 3차원 디지털 기반의 '서울형 자율주행 정밀도로지도'를 시범 구축하고 민간에 개방한다.서울형 정밀도로지도는 서울시가 자체 개발한 디지털트윈 플랫폼 'S-map'을 기반으로 구축된다. S-map은 서울 전역을 3D 지도화한 스마트 도시 플랫폼으로, 도시행정...
  9. 대구 자동차정비업체 '경영난 위기'..."손해보면서 정비해야 하는 현실" [대구경북취재본부 서철석기자] 대구지역 자동차 정비업체들이 잇따른 경영난으로 붕괴 직전에 놓였다. 교통사고 감소로 인한 수리 물량 감소와 부품 및 재료비 상승이라는 이중고 속에, 손해보험사들의 일방적인 보험 정비 수가 삭감이 결정적인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비업계는 지속적으로 정비 요금 현실화를 요구하고 ...
  10. 어린이 교통사고, 5~6월 집중 발생… 오후 하원 시간대 ‘사고 최다’ 어린이 교통사고가 봄철인 5~6월과 하원·놀이 시간대인 오후 2시부터 7시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12일, 2019년부터 2024년까지 현대해상 자동차보험에 접수된 보행자·자전거·개인형이동장치(PM) 대상 교통사고 약 17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분석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