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6월 5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전날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중재로 열린 광주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3차 조정회의가 최종 결렬됨에 따른 조치다.
광주 시내버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노조원 1천400여 명은 이날부터 운행을 전면 중단하며, 광주시는 이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했다.
노조는 이번 임단협에서 임금 8.2% 인상(4호봉 기준 월 34만원)과 정년을 61세에서 65세로 연장할 것을 요구했으나, 사측은 운송 적자 확대를 이유로 동결 입장을 고수해왔다. 양측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결국 파업이라는 극한 상황에 이르게 됐다.
광주시는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노조원인 나머지 1천여 명의 운전기사를 투입하여 시내버스 운행률 70%(700대)를 목표로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한다. 파업이 장기화되어 운전원 피로가 누적될 경우를 대비해 임차 버스 투입을 통한 70% 운행률 유지 계획도 세웠다.
시내버스 운행 감소로 변경된 운행 노선과 시간표는 광주 버스운행정보시스템과 빛고을콜센터 120에서 안내받을 수 있으며, 각 버스정류장에도 파업 상황과 시내버스 변경 운행표 등을 게시했다.
또한 광주시는 도시철도와 택시 등 다른 교통수단 운행을 확대하고, 자치구, 교육청, 공공기관, 기업 등과 협력하여 등하교 시간 조정, 출퇴근 유연근무 확대, 승용차 함께 타기 캠페인 등 다각적인 시민 불편 최소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노조의 버스 운행 방해 행위에 대해서는 현장 점검반을 구성해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배상영 광주시 대중교통과장은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 목적은 안정적인 시민 편의 제공"이라며, "노조는 파업을 철회하고 사측과 대화를 통해 원만한 합의점을 찾아달라"고 당부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