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갈등으로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6월 5일 광주시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운영 적자의 책임을 노동자에게 전가하지 말라"며 사측과 광주시를 강력히 규탄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가 전면 파업에 들어간 5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한 버스정류장에 운행 지연을 알리는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2025.6.5 (c) 연합뉴스
전날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중재로 열린 3차 임단협 조정 회의에서 협상이 결렬되자 이날 첫 차부터 파업에 돌입한 노조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요구를 관철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광주지역버스노동조합은 결의대회에서 "지금 광주 버스 운수 노동자들은 깊은 어둠 속에서 홀로 신음하고 있다"며 열악한 근무 환경을 호소했다.
노조는 "부족한 인력으로 인한 연장 근로는 당연한 듯 강요되고, 휴식 시간은 턱없이 부족한 데다 임금은 전국적으로 가장 낮다"고 지적했다.
또한 "시민의 안전과 편리함이라는 가치 뒤에 숨겨진 우리들의 눈물을 외면하지 말아달라"며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지만 그것이 우리의 헌신과 희생을 담보로 하는 것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시내버스 운영 적자의 책임이 노동자들에게 있지 않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이들은 "교통 복지 일환으로 무료 환승을 시행하고 인접 시군의 농어촌 버스 진입 허용, 무분별한 마을버스 인가 등이 적자 폭을 가중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노조는 도시 근로자 생활 임금 수준으로 맞춰야 한다며 올해 임단협에서 연봉 8.2% 인상(4호봉 기준 월 34만원), 65세로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사측은 운영 적자 등을 이유로 동결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사용자 측과 6차례 협상, 지방노동위원회의 3차례 특별 협상을 했으나 광주시와 사용자는 동결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며, "마지막 조정 시한까지 아무런 대안도 없고 교섭할 의지도 없어 보이는 만큼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요구를 관철할 것"이라고 강력한 투쟁 의지를 표명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 전면파업 첫날인 5일 광주광역시청 앞에서 열린 총파업 투쟁 승리쟁취 버스노동자 결의대회에서 삭발식이 펼쳐지고 있다. 2025.6.5 (c) 연합뉴스
일부 노조 간부들은 결의대회에서 삭발을 감행하며 결연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파업으로 광주 시민들의 불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광주시와 사측, 노조 간의 협상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