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도입된 지 17년이 지난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하기로 해 귀추가 주목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사의 임단협 타결 직후 입장문을 통해 버스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해 운영의 투명성 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28일 부산 시내버스 노사의 올해 임금·단체협약 타결 직후 시장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박 시장은 “시내버스 파업으로 출근길을 포함한 일상 곳곳에서 큰 불편을 겪은 시민에게 시장으로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파업 사태를 계기로 공공서비스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성 확보 관점에서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해 운영의 투명성을 강화하고 재정 지원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시는 시민 교통편의 증진을 위해 2007년 시내버스 업계와 협약을 통해 시가 버스 노선과 운행 계획을 관리하는 대신 버스 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운송적자를 버스 업계에 재정으로 보전해주는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했다.
시의 재정 지원은 2023년 2710억 원, 2024년 2820억 원 등 매년 2000억 원대에 달하는 재정을 버스 업계에 지원한다.
준공영제 예산의 70%는 인건비로 사용된다.
박 시장은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도입된 지 1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버스 업계의 구조적 재정 적자,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 교통 수요 감소, 시 재정 확대 등 다양한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버스 노사의 임단협 타결은 끝이 아니라, 더 나은 교통 환경과 공공서비스로 나아가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위기를 통해 드러난 문제들을 외면하지 않고 시가 직접 책임지고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윤영근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