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 이하 TS)은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이 맑은 날보다 약 1.3배 높다며 감속 운전과 차간거리 확보 등 빗길 안전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밝혔다.
'오늘도 무사고 비오면 무조건 감속' 포스터. [한국교통안전공단]TS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우천 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3만5,873건, 사망자는 592명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우천 시 교통사고 치사율은 100건당 1.65명으로, 맑은 날 치사율 1.24명 대비 약 1.3배 높은 수치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화물차 교통사고의 경우 치사율이 6.94명으로 ‘맑음’ 상태 대비 무려 5.6배나 높아 빗길 사고의 심각성을 뒷받침했다.
노면 상태별로는 ‘젖음/습기’일 때 치사율이 1.90명으로 ‘건조’ 상태(1.27명)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TS는 빗길 사고 위험성을 강조하며, 운전자들이 반드시 감속 운행과 차간 거리 확보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단이 실시한 차량 종류별 제동거리 실험에서도 위험성은 뚜렷하게 드러났다. 승용차의 경우 젖은 노면에서 제동거리가 18.1m로 마른 노면(9.9m) 대비 약 1.8배 길었고, 화물차는 1.6배(24.3m→15.4m), 버스는 1.7배(28.9m→17.3m)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어 마모도 역시 사고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공단 실험 결과, 시속 100km 이상 주행 시 마모가 심한 타이어는 새 타이어보다 제동거리가 최대 1.5배 증가했다. TS는 수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어가 마모한계선에 도달하기 전에 교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차량 관리도 중요하다. TS는 출발 전 ▲타이어 공기압 10% 증가 ▲와이퍼 고무날과 워셔액 점검 ▲전조등·후미등 작동 여부 확인 등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중호우 시에는 지하차도나 저지대 도로, 교통정체 구간을 우회하고, 타이어 높이 2/3 이상이 물에 잠기기 전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한다고도 당부했다.
정용식 TS 이사장은 “비가 오는 날에는 감속 운전, 차간 거리 확보, 등화장치 점검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지켜도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며 “무엇보다 운전자의 습관과 준비가 사고 예방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오승안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