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의원은 이날 발언에서 “고속철도, 시외버스, 도시철도, 백화점 등 주요 시설이 밀집된 동대구복합환승센터는 대구의 대표 관문이자 핵심 거점”이라며 “그러나 주차장은 항상 포화 상태이며, 불법 주차와 교통 혼잡, 보행자 안전 위협 문제가 상시적으로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 의원은 “2023년 기준 대구시 주차장 확보율은 97.4%로, 서울(142.5%), 울산(122.1%), 부산(113.6%) 등 다른 특·광역시에 비해 가장 낮다”고 설명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주차 수요와 변화하는 도시 환경에 맞서기 위해서는 단순한 공간 확충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새로운 방향으로 기술과 민간 협력, 공간 전략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스마트 주차 정책’ 전환을 제안했다. 그는 ▲도시계획·교통정책·상권 활성화와 연계된 종합 주차 계획 수립, ▲시간대·위치별 수요에 맞춘 탄력적 요금제 도입, ▲민간 부설주차장의 유휴 시간대 공유 활용 등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박 의원은 “공공과 민간 주차장 정보를 연계해 대구 전역의 주차 수급 상황을 통합 관리할 경우 정책 정밀도와 예산 집행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박 의원은 “복합환승센터의 주차난은 단순한 불편이 아닌 도시의 접근성과 경쟁력에 직결된 중대한 문제”라며 “이제는 복합환승센터가 ‘복잡함의 상징’이 아닌 ‘스마트한 환승의 상징’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구시에 대해 “제안된 정책에 대한 신속한 타당성 용역 착수와 실행 가능한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