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부구치재본부 서철석 기자] 대구시는 6월 23일 한국공항공사 대구공항, 한국관광공사 대구경북지사 등 유관기관과 함께 ‘대구국제공항 국제선 활성화’를 주제로 전략 회의를 개최하고, 팬데믹 이후 회복세가 더딘 대구공항 국제선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대구 국제공항 전경
이번 회의는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의 주재로 열렸으며, 대구국제공항의 운송 실적 현황을 공유하고, 정기노선 확보와 환승 편의 개선, 환승 관광 콘텐츠 개발 등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공항은 2014년부터 저비용항공사(LCC) 유치, 커퓨타임 단축, 노선 다변화 등을 통해 2019년 연간 이용객 467만 명이라는 개항 이래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여객 수가 급감했고, 국제선 운항이 재개된 2022년 5월 이후에도 회복세가 더딘 상황이다.
올해 1~5월 대구공항 국제선 누적 이용객은 60만 3,828명으로, 2019년 동기간 대비 51%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시는 이 같은 부진 원인으로 ▲지방 인구 감소 ▲항공사의 전략 재편에 따른 수익 노선 우선 배치 ▲항공기 도입 지연 등을 복합적으로 지목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항공사에 예산을 지원해 정기·정책 노선 중심으로 운항 다변화를 유도하고, 부정기 노선을 정기화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구체적으로 7월부터 대구∼괌 노선 운항이 재개되며, 대구∼대만 타이중, 대구∼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등의 신규 부정기 노선도 속속 취항할 예정이다.
한국공항공사 대구공항은 환승객의 편의 제고를 위해 국제선 출발장 내 상업·휴게시설 확충을 준비 중이며, 대구시와 관련 기관은 환승형 관광 콘텐츠 개발에도 협력할 계획이다.
홍성주 경제부시장은 “앞으로 조성될 대구·경북 신공항이 조기 안착하고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대구공항이 항공 수요 기반을 견고히 다지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국제선 활성화를 위해 관계기관과의 지속적인 협력과 실행 중심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