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자치경찰위원회는 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실시한 전국 대상 설문조사 및 대구시민 대상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시간제 속도제한’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4월 ‘국민생각함’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진행된 전국 설문조사(응답자 1,995명)에서 82.0%가 시간제 속도제한에 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흐름 개선(64.1%), 불필요한 단속 감소(35.1%)가 주요 찬성 이유로 꼽혔으며, 도입 시 고려사항으로는 어린이 통행량(46.1%)과 차량 통행량(27.7%)이 제시됐다.
이달 코리아리서치가 실시한 대구시민 대상 전화조사(1,200명)에서도 찬성 비율은 86.1%에 달했다. 시민들은 어린이 등하교 시간 집중 관리(32.1%)와 교통흐름 개선(27.0%)을 도입의 주된 이유로 들었으며, 고려사항으로는 어린이 통행량(50.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구시는 현재 북구 신암초 인근에서 시간제 속도제한을 시범 적용하고 있으며, 이 성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13곳의 후보지를 중심으로 순차 확대를 검토 중이다. 경찰서별 추천 지역을 유관기관과 함께 현장 점검하고, 도로 구조, 사고 이력, 어린이·차량 통행량, 주민 여론, 학부모 의견 등을 종합 반영해 최종 도입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다만 일부 학부모들은 시간제 속도제한이 운전자 혼란을 초래하거나, 어린이 안전을 오히려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 자치경찰위는 “객관적 데이터와 안전 기준에 기반해 신중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자치경찰위 관계자는 “시민 여론과 통계 데이터를 반영해 교통 흐름과 어린이 안전을 동시에 확보하는 정책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내년부터는 도입 지역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