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취재본부 서철석 기자] 포항시의 시내버스 재정지원금이 최근 6년 사이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되면서, 교통체계 개편에 대한 전면 재검토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경북 포항시 김만호 시의원
김만호 포항시의원이 1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포항시가 시내버스 운영을 위해 투입한 재정지원금은 2018년 134억7,800만 원에서 2024년 378억9,700만 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포항시 시내버스 시장은 현재 포항버스(구 코리아와이드)가 전적으로 독점 운영하고 있는 구조다. 이에 따라 예산 투입의 효율성과 공공교통 서비스의 질적 개선 여부를 둘러싼 시민사회의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김 의원은 “포항시는 그간 여러 차례 시내버스 노선 개편 용역을 진행했지만, 실질적인 교통 취약계층인 학생들의 등하교 수요는 여전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구도심 공동화와 외곽 지역 개발의 영향으로 통학 접근성이 악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김 의원은 “학교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한 ‘통학순환버스’ 도입이 시급하다”며, 기존 노선 중심 정책에서 벗어난 수요 맞춤형 교통 대책 전환을 주문했다.
2020년부터 도입된 마을버스 정책 역시 시민들의 기대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김 의원은 “마을버스의 경우 수요 예측이 실패해 손실보조금이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재정 효율성에 대한 시민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단순한 노선 유지나 재정 보전 차원이 아닌, 학생과 시민의 실질적인 이동 수요를 반영한 교통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포항시는 지난해에도 시내버스 노선 전면 개편안을 발표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배차 간격 확대와 노선 축소로 주민 불편이 가중됐다는 민원이 제기된 바 있다.
김 의원의 제안대로 통학 중심 대책이 마련될 경우, 버스 운영 구조 전반에 대한 재정비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