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취재본부 서철석 기자】대구택시운송사업조합이 대구시에 전기택시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 확대를 공식 요청했다.
대구지역 택시 조합은 최근 건의서를 통해 “전기택시는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라며, 정책적·재정적 유인책 마련을 강하게 촉구했다.
조합은 지역 택시산업이 심각한 경영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했다. 운수종사자 구인난, 낮은 차량 가동률, 고유가 지속, 차량 가격 상승, 최저임금 인상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해 택시업체들이 경영 한계에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도산 위기에 직면한 업체가 늘고 있다”며 구조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대구는 지난 2016년 전국 최초로 전기택시를 도입하며 친환경 정책에 선도적으로 참여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차량 가격 급등, 할부금리 인상, 잦은 고장과 이에 따른 정비 지연 등으로 전기택시 전환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조합은 밝혔다.
조합에 따르면, 전기택시는 LPG 택시에 비해 1천만원 이상 고가이며, 무상보증 기간이 짧고 고장 발생 시 수리기간이 길어 영업에 심각한 차질이 빚어지는 상황이다. 여기에 소모품 무상지원 중단 등의 여파까지 겹치며 비용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는 설명이다.
조합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무상 보증기간 연장 △전기차 택시 전용 정비장비 보급 △정비기술 이전 △택시 맞춤형 모델 개발 △정비 인프라 강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에는 △전기택시 구매 보조금 확대 △충전요금 보조금 지급 △차량-배터리 소유 분리 모델 도입 △배터리 교체 비용 지원 △충전 인프라 확충 △취득세 면제 등을 요청했다. 특히 제조사 측에도 내연기관차보다 전기택시에 대한 사후관리 확대를 요구했다.
서상교 대구택시조합 이사장은 “전기택시 활성화는 단지 친환경을 위한 선택이 아니라, 지역 택시 산업의 구조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돌파구”라며 “지자체와 중앙정부, 제조사의 전향적인 협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