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비업계가 '레드오션'이라는 우려 속에 흔들리고 있다. 전기차 등 미래차의 확산으로 내연기관 차량이 점점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현실화되면서 정비 수요가 줄어들 것이란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생존을 위한 돌파구를 찾는 움직임은 끊이지 않고 있다.
대구 북구의 한 정비업체가 자동차 수리를 하고있다.
자동차정비업은 여전히 희망이 있는 분야다. 내연기관차가 당장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상당 기간 병존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업계는 단순 정비를 넘어선 새로운 수익 모델 개발과 기술 혁신을 모색하며 생존 전략을 다각화하고 있다.
정비업계의 주요 불만은 보험차량 정비 수가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부품가와 재료비가 40% 이상 인상된 상황에서 인건비와 임대료까지 오르며 업체들은 적자 경영에 내몰리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일부 정비업체는 확장현실 스마트 글래스를 도입해 정비 정확도를 높이거나, BMW처럼 원격 전문가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기술 기반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정비 투명성을 강조하는 워시홀과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나, 자동세차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정비업에 결합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는 소비자 신뢰 확보와 수익 다각화를 동시에 노린 전략이다.
정비업계가 처한 또 하나의 큰 문제는 인력난이다. 대구지역 280여 곳, 경북지역 320여 곳의 정비사업체들은 코로나19 이후 기술자 이직과 고령화로 인해 극심한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소형 및 종합정비업체는 물동량 감소로, 특정 전문 정비업체는 숙련 기술자의 부재로, 엔진 보링 업체는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정부의 역할도 절실하다. 수리권법 도입과 같은 제도 개선은 소비자의 정비 선택권을 보장하고, 불법 정비 근절과 투명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미래차 시대에 대비한 정비 표준 구축과 관련 인력 양성 지원도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 현재의 혼란기를 '전환기'로 만들기 위한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자동차 정비업은 단순히 산업의 일부분이 아니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기반 산업이다. 변화의 흐름 속에서도 생존을 위한 도전은 멈추지 않고 있다.
기술 혁신, 시스템 변화, 그리고 새로운 사업 모델은 정비업계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이다.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은 정비업체들의 생존이 아니라, 그들이 만들어갈 미래의 가능성이다.
서철석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