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안전공단이 11일 디젤 엔진 차량을 전기자동차로 전환하는 ‘EV컨버전’ 차량의 안전성 검증 및 튜닝 승인 실증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튜닝안전기술원 전경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2028년까지 국내 최초의 EV컨버전 차량 튜닝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TS는 이번 사업을 통해 내연기관 차량에서 엔진, 변속기, 연료탱크 등을 제거하고 전기모터와 배터리를 장착하는 EV컨버전 기술을 체계화한다.
그간 전기차는 직류 60V를 초과하는 고전원 장치의 위험성으로 인해 정비와 튜닝이 사실상 불가능했고, 관련 산업의 기술 연계도 부족해 EV컨버전은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국토교통부는 튜닝안전기술원이 올해 1월 공식 개원한 것을 계기로 EV컨버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튜닝시장 확대를 위한 실증 사업에 나섰다.
공단은 EV컨버전 차량의 안전성 평가체계 개발, 정기검사 및 튜닝검사 기술 개발, 절차 개선과 전문인력 양성을 포함한 산업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내연기관 차량을 친환경차로 개조하는 기술과, 사용 목적에 따라 구조를 변경하거나 장치를 추가하는 전기차 튜닝 정비기술의 고도화도 기대된다.
특히 기존보다 성능이 뛰어난 모터와 배터리로 교체하는 기술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TS는 이번 실증사업과 연계해 경상북도, 김천시, 송언석 국회의원과 협력하여 ‘전기차 튜닝 안전센터(가칭)’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운행 단계의 전기차 신뢰성 검증과 맞춤형 기술 개발을 위한 기반시설로, 전기차 튜닝 분야의 전문성과 기술 축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전진기지가 될 예정이다.
정용식 TS 이사장은 “이번 사업은 전기차 튜닝시장의 출발점이자 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튜닝안전기술원의 기능을 확장하여 전기차 기반의 새로운 튜닝시장 창출과 안전한 정비환경 구축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