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자동차산업 고비용·저효율구조 심각하다
  • 이병문 기자
  • 등록 2018-04-22 14:27:30

기사수정
  • 글로벌 10대 생산국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후퇴
  • 스페인·이탈리아·프랑스, 노동개혁으로 생산량 높아져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생산 경쟁력이 고비용·저효율의 생산구조와 대립적 노사관계로 계속 약화되고 있다.

자동차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자동차생산량은 2011466만대로 최대치를 기록한 후 2012~2015450만대 수준으로 정체됐다. 2016년에도 전년 대비 30만대 이상 줄었고, 지난해에는 10만대 이상 감소한 411만대를 나타냈다. 2011년과 비교하면 11.6% 감소한 수치다.

국가별 생산 순위 역시 뚝뚝 떨어지고 있다. 한국은 2015년까지 글로벌 생산 5위를 유지했으나 2016년 이후 6위로 하락, 2018년에도 멕시코에 밀려 7위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글로벌 10대 생산국 중 2년 연속 생산량이 감소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국내 자동차 생산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 '대립적 노사관계로 인한 고비용·저효율 생산구조' 때문이다. 높은 임금수준과 낮은 생산성으로 인건비 경쟁력을 상실했고, 경직된 법·제도와 노조의 비협조로 근로 유연성이 부족하다.

현대·기아·한국지엠·르노삼성·쌍용자동차 등 국내 5개 완성차업체의 2016년 기준 연간 평균임금은 91213만원으로, 일본 도요타(9104만원), 독일 폭스바겐(8040만원) 등 주요 경쟁업체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반면 자동차 1대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시간은 일본보다 11.2%, 미국보다 25.8%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탄력적 근로시간 운영이 힘들고, 파견제 제조업 활용이 불가할 뿐만 아니라 사내하도급 제한도 있다. 실제로 국내 자동차업체들은 신차 투입시기와 생산량, 판매차량 물량조정, 라인간 생산조정조차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 노동개혁을 추진한 국가들은 근로유연성 강화, 고용유연성 확보, 인건비 부담 완화 등으로 자동차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스페인은 정규직 해고절차 간소화 등 노동개혁으로 2012198만대이던 생산량이 2017287만대로 45.2% 증가했다. 이탈리아는 노동개혁으로 201366만대이던 생산량이 2017114만대로 73.5% 늘었고, 프랑스 역시 2013175만대에서 2017230만대로 31.8% 증가했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가?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장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강남 30분 시대”라더니…김포에 돌아온 건 반쪽 ‘서울역 직결’ 김포 정치권과 지자체는 GTX-D 서울역 직결안 통과에 환호했지만, 시민이 기대한 ‘강남 직결’은 빠진 채 확정됐다. 강남 수요와 도시 성장 전망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김포시민이 기대한 건 ‘강남 30분 시대’였다. 정치인들은 수년간 이를 내세워 지역 여론을 달궜고,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일명 GTX-D 선행구간)이 강남까...
  2. 대구 개인용달 화물차 ‘생계 위기’…택배 전환·번호판 충당 해법 모색 [대구경북취재본부 서철석 기자] 대구지역에서 운행 중인 1톤 개인용달 화물차들이 과잉 공급에 따른 심각한 경영난으로 생계 위협에 직면했다. 업계는 택배 전환과 번호판 충당을 핵심 해법으로 제시하며, 용달·택배 간 전략적 제휴를 통한 상생 방안을 촉구하고 있다.지역 용달 업계에 따르면, 현재 대구에는 개인용달 차량이 과도하...
  3. 더현대 광주, 북구-광주시 충돌…정준호 의원 “복합쇼핑몰 교통문제, 국회가 조정자 역할 나서야” 광주 북구가 ‘더현대 광주’의 건축허가를 조건부 승인했지만, 교통 인프라 개선을 두고 광주시와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건축허가는 북구가 맡았지만, 교통대책 수립과 예산 편성 권한은 광주시에 있어 두 기관 간 역할 분담이 뚜렷하다. 해당 사업은 옛 전남방직·일신방직 터에 연면적 27만3천895㎡(지하 6층·지상...
  4. 애플페이 교통카드, 한국 대중교통 바꿀까?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도 교통카드를 쓸 수 있는 시대다. 애플페이가 한국 대중교통에 정식 적용됐지만, 기능적 제약과 정책 연계 미비 등 풀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2025년 7월 22일, 애플과 티머니가 애플 월렛에 티머니 교통카드를 공식 통합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아이폰과 애플워치 사용자도 스마트기기 하나로 전국 대중교통을 이용...
  5.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끝까지 징수…우대·기후동행 돌려쓰기 집중 단속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부정승차에 법적 조치를 병행하고, 우대용·기후동행카드 부정사용에는 과학적 단속 시스템을 도입했다.7일 공사는 부정승차를 단순 위반이 아닌 ‘명백한 범죄행위’로 간주해, 소송부터 강제집행까지 끝까지 책임을 묻는다고 밝혔다. 통합 이후 지금까지 130여 건의 소송을 진행했으며, 지난해에는 22건...
  6. 서울시, 외국인 대상 택시 바가지요금 100일간 특별단속 서울시가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택시의 부당요금 요구, 승차거부, 불친절 등 불법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100일간의 집중 단속에 나섰다.서울시는 여름 휴가철과 관광 성수기를 맞아 외국인 택시 민원을 해소할 특별 대책을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인천·김포공항, 명동 등 외국인 밀집 지역에 단속 인력을 집중 투입하고, 승차거부...
  7. 신규 운면허 취득자 2년째 감소세…청년층 "기후동행카드면 충분" 신규 운전면허 취득자가 2년 연속 급감하면서 전국 운전면허학원이 매월 2-3곳씩 폐업 위기에 처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4년 신규 면허 취득자는 전년 대비 10% 감소한 80만명대로 떨어질 전망이며, 청년층을 중심으로 확산된 "기후동행카드면 충분하다"는 인식이 업계 존폐를 위협하고 있다.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2017년 108만명이던 신규 운전...
  8. TS '오늘도 무사고' 캠페인 100일, 전국 안전문화 확산 성과 한국교통안전공단(TS)이 4월 30일 출범한 범정부 교통안전 캠페인 '오늘도 무사고'가 100일을 맞아 전국 14개 지역본부에서 232회 현장 캠페인을 실시하고 1만2천여 명의 국민이 참여하며 전국적인 교통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고 8일 밝혔다.한국교통안전공단은 이번 캠페인이 기존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교통안전 홍보에서 벗어나 ...
  9. 8.15 광복절 세종대로 18시간 전면차단…폭주차량 특별단속도 서울경찰청은 제80주년 광복절 기념행사로 인해 15일 오전 6시부터 밤 12시까지 18시간 동안 세종대로(적선로~세종로) 일대를 양방향 전면 통제하고, 동시에 폭주·난폭운전 차량에 대한 특별단속을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세종대로 등 교통통제는 총 3단계로 나눠 실시된다. 1단계는 지난 10일 오전 0시부터 16일 오후 ...
  10. ‘나중에 돌려드릴게요’ 복지이직금 900억 미지급…서울개인택시조합, ‘폰지 사기’ 논란 서울개인택시조합의 복지이직금 제도가 회비에 의존한 순차 지급 방식으로 운영되며, 누적 미지급금이 900억 원(2025년 8월 기준)을 넘어섰다. 신규 회비로 기존 수급자의 이직금을 충당하는 구조가 ‘폰지 사기’와 유사하다는 지적 속에, 이사장 교체와 대법원 판결을 앞두고 제도 개혁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복지이직금은 개인택시 기사가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