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서울지하철, ‘덥다’ 민원만 하루 3,500건…냉난방 대응 총력
서울지하철에서 냉난방 불편을 호소하는 ‘덥다’ 민원이 하루 평균 3,500건 넘게 접수되며, 서울교통공사가 민원 감축과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7월 한 달 동안 접수된 ‘덥다’ 민원은 10만 8,000건으로 하루 평균 3,494건에 달했다.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 5월부터 7월까지로 범위를 넓히면 하루 평균 3,520건...
-
“강남 30분 시대”라더니…김포에 돌아온 건 반쪽 ‘서울역 직결’
김포 정치권과 지자체는 GTX-D 서울역 직결안 통과에 환호했지만, 시민이 기대한 ‘강남 직결’은 빠진 채 확정됐다. 강남 수요와 도시 성장 전망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김포시민이 기대한 건 ‘강남 30분 시대’였다. 정치인들은 수년간 이를 내세워 지역 여론을 달궜고,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일명 GTX-D 선행구간)이 강남까...
-
광복절 ‘택배 쉬는 날’ 업체별 상이…우체국소포 5일 휴무
올해 광복절 전후 ‘택배 쉬는 날’이 업체별로 2~5일간 운영돼 소비자는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택배 쉬는 날’ 제도는 2020년 도입돼 매년 8월 14일을 기준으로 택배 종사자들의 법정 휴식을 보장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한국통합물류협회, 주요 택배사는 일정을 조율해 전원 휴무를 원칙으로 한다.CJ대한통운과 한진은 8월 14일...
-
코레일, 하반기 1,200명 신규 채용…공공기관 최대 규모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올해 하반기 공공기관 중 최대 규모 1,200명을 신규 채용한다. 12일 코레일은 하반기 신입사원 1,181명과 전문·경력직 19명 등 총 1,200명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상반기 2,243명 채용에 이어 하반기에도 공공기관 최대 규모이다.신입사원은 공개경쟁채용 563명과 제한경쟁채용 618명으로 나뉜다. 제한경쟁에는 자격증 제...
-
'안전등급 D' 서소문고가 17일부터 철거, 경기·인천 광역버스 20개 노선 우회
안전등급 D 판정을 받은 서소문고가 철거 공사로 인해 오는 17일 0시부터 광역버스 20개 노선이 우회 운행하며, 시는 교통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서울시는 서소문고가 철거 및 개축 공사에 따른 교통 혼잡을 완화하고자 오는 17일 0시부터 버스 노선 우회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안전등급 D 판정을 받은 서소문고가...
-
부산 사상 새벽시장 인근 또 대형 싱크홀…3년간 14번째 발생
부산 사상구 새벽시장 인근 도로에서 또다시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인근 주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12일 오전 11시 5분께 새벽시장 정문 앞 도로에 세로 5m, 가로 1m 크기의 땅 꺼짐 현상이 생겨 지나가던 1t 트럭 뒷바퀴가 빠졌다. 소방 당국은 현장 안전조치를 했으며, 운전자는 다행히 크게 다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싱크홀이 생긴 지점...
-
서울시, 야간·빗길에도 선명한 '태양광 LED 도로표지병' 주요 도로 확대 설치
서울시가 야간과 우천 시에도 운전자들의 시야를 확보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고자 태양광 LED 도로표지병을 주요 간선도로에 확대 설치해 안전한 도로 환경 조성에 나섰다.서울시가 야간이나 비 오는 날에도 운전자가 차선을 명확하게 인식해 안전운전 할 수 있도록 '태양광 LED 도로표지병'을 주요 간선도로 차선에 확대 설치했다. 이 ...
-
광주시, 전국 최초 '휠체어 통행 가능' 지하철 대피로 기준 마련
광주광역시(시장 강기정)가 도시철도 2호선을 교통약자 배려와 시민 안전을 강화한 기준에 따라 건설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도시철도 건설기준 규칙 일부 개정안'을 마련해 22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이번 규칙 개정은 기존 도시철도 규정의 한계를 개선하고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대피 편의성과 도시철도 이용의 안전성을 높...
-
서울교통공사, 민원 자동이첩 시스템 구축…"타 기관 민원 63.9% 자동 처리"
.
-
TS, AI로 전기차 배터리 건강상태 진단한다...맞춤형 관리정보 제공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용식)이 AI 기술을 활용해 전기차 배터리 건강상태(SOH)를 정밀 분석하고 운전자에게 맞춤형 배터리 성능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체계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TS는 14일 운전자에 맞춤형 배터리 성능 정보를 제공하고, 전기차 안전성 확보와 자원순환에도 기여하는 AI 기반 전기차 배터리 관리체계 마련을 본격 추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