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부지조성 공사 입찰이 한 달 넘게 중단되면서 2029년 개항 목표에 비상이 걸렸다.
가덕도 신공항 조감도 (부산시 제공)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7년(84개월)이 아닌 9년(108개월)의 공사 기간을 요구하면서 국토교통부가 수의계약 절차를 중단하고 중앙건설 기술심의위원회에 자문을 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시는 현대건설이 입찰 조건을 위반했으므로 자격이 없다고 보고, 곧바로 입찰 조건 없는 재공고를 시행해야 한다고 국토부에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중앙건설 기술심의위원회 심의에만 최소 한 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부산시는 대선 후 새 정부의 명확한 입장이 나올 때까지 마냥 기다릴 수밖에 없는 처지다.
현재 대선 후보 중 2029년 개항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명확히 밝힌 후보는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정도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가덕도신공항 취소 시 국토 균형 발전과 지역 소외 등의 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며 "진행을 보완해 가면서 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2029년 말 가덕도신공항 개항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신공항 특보를 당분간 서울에 상주시키는 등 정무직 인사를 최대한 가동하며 국토부와 현대건설을 상대로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 또한 국토부 장관과 통화하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대선 시기에 정치적인 오해를 살 수 있다는 우려로 전면에 나서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에서는 부산시가 7년이라는 공사 기한을 고수하며 입찰이 공전되는 것보다, 엑스포 등 조기 개항 이유가 사라진 만큼 공기가 늦어지더라도 공사가 빨리 진행되는 것이 낫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완수 경남지사는 지난 19일 "가덕도신공항을 적기에 개항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한 관문 공항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부산시와는 다소 다른 입장을 보여 지역 간 미묘한 온도 차를 드러냈다.
김광회 부산시 미래혁신부시장은 "84개월의 가덕도신공항 공사 기간은 1년 8개월간 153억 원을 들인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60여 차례 자문회의를 거쳐 정부가 제시한 것"이라며, "국책사업의 기준이 민간기업의 이해관계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는 가덕도신공항 사업이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를 넘어 정치적, 행정적 판단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음을 보여주며 사업의 장기화와 불확실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하목형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