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후 처음으로 성수, 종각, 을지로4가 등 7개역의 역명병기 유상판매 입찰을 실시한다.
역명병기 표기예시. ⓒ서울교통공사입찰은 8월 19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며, 낙찰기관은 향후 3년간 역명병기를 사용할 수 있고, 1회 계약 연장도 가능하다. 참여를 원하는 기관(기업)은 대상 역 인근 1km 이내(시외 2km) 위치해야 한다.
입찰 대상역은 종각(1호선), 성수(2호선), 독립문·신사(3호선), 마포(5호선), 수진(8호선), 을지로4가(2·5호선) 총 7개역이다.
역명병기는 지하철 역명 옆 또는 괄호 안에 기관명을 추가 표기하는 제도로, 폴사인·출입구 역명판, 승강장 및 안전문 역명판, 전동차 단일노선도 등 8종의 시설에 표시되며, 하차역 안내방송에도 기관명이 송출된다.
공사는 시설 노후로 인한 안전 투자비 증가와 교통복지 정책비용 부담 등 재정 압박 속에서 수익 창출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은 2016년부터 진행됐으나 지난해 공공성 논란이 제기되면서, 올해 7월 공공성 강화와 심의기준 계량화를 포함한 제도 개선을 완료했다.
심의 절차는 1단계에서 정량평가 70점(접근성·공공성)과 정성평가 30점(심의위원회 평가)을 합산해 70점 이상을 받은 기관에 입찰 자격을 부여하고, 2단계에서 최고가 입찰 기관을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다.
역명병기 제도를 통해 기관·기업은 지하철 역명을 활용한 브랜드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으며, 역 이용객 편의 증진도 기대된다. 현재 37개역에서 시행 중인 역명병기 사용기관들은 홍보 효과를 확인하고 있으며, 올해 계약 만료역의 재계약률은 100%에 달한다.
손병희 전략사업본부장은 “이번 제도 개선으로 공공성을 강화하고 심의 절차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했다”며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은 공사 재정 건전화와 기관 브랜드 가치 제고에 모두 도움이 된다. 합리적 비용으로 상징성 있는 역명을 활용할 수 있는 이번 기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