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도노조, 12일 총파업 진행…화물연대도 15일 총력결의대회
천안함 장례 일정등과 겹쳐 연기됐던 철도노조와 화물연대의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가 5월 물류대란이 예상된다. 특히 올해는 예년과 달리 철도노조와 화물연대의 동시 파업이 예견되고 있어 대체 수송 수단도 마땅찮은 상황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천안함 장례식과 교섭분위기 형성을 위해 지난 4월 30일 투쟁을 연기했던 철도노조와 화물연대 본부가 투쟁일정을 확정해 공지했다.
철도노조는 지난달 30일 단체협약 교섭의 진전이 없을 경우 오는 12일 총파업을 진행한다고 결정했다. 철도노조는 "단체협약 해지가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남아 있는 시간은 없다"며 "교섭 진전이 없을 경우 총파업에 돌입 한다"고 밝혔다.
철도노조 관계자는 "최근 경제적 여건과 철도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교섭타결을 목표로 최대한 노력을 하겠지만 철도공사의 입장변화가 없다면 단체협약을 지키기 위해 총파업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며 "철도공사도 단체협약 만료시점을 악용해 시간 끌기에만 몰두하지 말고 성실교섭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또 화물연대는 2년 전 정부와 합의한 화물운송제도 개선과 화물 표준 운임제 시행 촉구를 위해 오는 15일 화물운송노동자 총력결의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현재 화물운송제도 개선 법안은 국회에 계류 중이다.
화물연대는 이번 결의대회를 통해 정부가 표준운임제 법제화와 화물운송제도개선, 노동기본권 쟁취 등의 요구를 계속 외면할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것을 천명할 계획이다.
물류업계는 이번 파업을 철도노조와 화물연대의 '춘투' 성격의 일상적인 노조 활동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 올해는 동시 파업이 어느 정도 예상된다는 점에서 예년과 다른 모습을 보일 것이란 우려가 크다.
업계는 육상, 철도를 이용한 물류 운송 수단의 비중이 높은 국내의 경우 철도·화물연대 동시 파업은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한다.
물류업체들은 과거 화물연대 파업 시 대체 운송 수단인 철도를 적극 이용했다. 하지만 동시 파업이 진행되면 물류 운송 자체가 마비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동시 파업이 이뤄질 경우 대체 물류 수단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물류가 완전 마비될 가능성도 있다.
물류업체 관계자는 "화물연대에 가입되지 않은 화물차주들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큰 효과를 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화물연대 파업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최악의 상황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