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구로역 참사 1년을 앞두고 유가족과 철도노조가 사고 원인 조사 과정의 편파성을 지적하며 진상 규명과 안전 시스템 개선을 촉구했다.
구로역 승강장. ⓒ교통일보
2024년 8월 9일 서울 구로역 9번선에서 전차선 점검 중 발생한 충돌 사고로 두 명의 젊은 철도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참사 발생이 1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 정부와 국토교통부 산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는 아직 공식적인 조사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
7월 30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유가족과 철도노조는 항철위의 조사 과정이 편파적이라고 비판했다.
항철위는 조사 과정에서 유족 측 조력자의 참여를 제한하고 철도노조의 의견 청취를 거부하는 등 폐쇄적인 조사 방식을 취해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조사 방식은 사고 현장과 피해 가족의 목소리를 배제하며 공정하고 투명한 진상 규명을 방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조사 초안은 사고 원인을 작업자의 안전 수칙 미준수와 현장 관리자의 감독 소홀 등 개인 과실에만 집중해, 현장의 구조적 문제와 관리 체계 허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작업자가 인접선 차단 권한조차 부여받지 못했고, 이를 보완할 명확한 매뉴얼도 없는 상황에서 개인 책임만 강조하는 것은 사고의 근본 원인을 왜곡하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이러한 편파성 논란 속에서 항철위의 공식 조사 결과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유가족과 철도노조는 철저하고 공정한 진상 규명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2025년 7월 30일, 철도노조는 국회에서 구로역 참사 유가족들과 여야 국회의원들이 함께 모여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항철위)의 편파적 조사 방식을 강력히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전국철도노동조합
회견에서 故윤원모 조합원의 아버지는 “사고의 진짜 원인을 알고 싶다.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故정석현 조합원의 누나는 “항철위가 석현이에게 사고 책임을 묻고 있다. 목숨을 잃은 것만으로도 부족한가? 왜 명예까지 훼손하는가”라며 눈물을 보였다.
강철 철도노조 위원장은 “항철위는 유족의 조력자 참여를 막고 노조 의견을 듣지 않겠다고 한다. 이런 폐쇄적 조사는 현장과 유족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 윤종군·이연희 의원,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 진보당 윤종오 의원 등 국회의원들도 이날 회견에 함께하며 “사고 원인을 개인에게 떠넘기고 구조적 책임을 회피하는 조사 시스템은 전면 개혁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이번 사고와 그에 따른 조사 논란은 철도 노동자 안전관리의 구조적 취약성과 공공기관 책임 체계의 한계를 드러냈다. 정부는 전국 철도 현장에 대한 안전 점검과 관리 강화, 법령 개정 및 예산 확대 등을 약속했지만,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나 책임자 처벌 계획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구로역 참사는 단순한 현장 사고를 넘어, 공공 교통 인프라 전반의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제기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사회적으로 환기시키고 있다.
오승안 기자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