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주식 보다 수익률 높아 재테크 수단 각광
|
홍콩 택시 1대 값이 우리나라 돈으로 약 11억원까지 급등했다. 택시에 투자해 얻는 수익률이 부동산 투자 수익률 보다 높기 때문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6일 홍콩에서 택시가 대중교통 수단이 아닌 투자 수단으로 뜨고 있다고 보도했다.
6월 기준 홍콩에서 면허(라이선스)를 포함한 택시 한 대당 가격은 766만홍콩달러(약 98만7600달러, 한화 11억원)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사상 최고가다.
택시 가격은 상승세가 시작되던 시점인 2009년 9월 이후 80% 이상 뛰었다. 택시 구입비 766만홍콩달러를 은행에 예금할 경우 1년만기 예금금리 0.20%를 적용해서 한달에 고작 1277홍콩달러(약 18만원)의 이자만 붙는다.
홍콩에서는 현재 택시 면허 보유자 절반이 투자자들로 추정된다. 이들은 택시와 함께 면허를 획득해 택시를 살 여력이 없는 운전자들에게 택시를 임대한다. 택시 하루 임대료는 현재 680~800홍콩달러(약 9만7000~11만5000원) 정도로 이 역시 2009년 이후 12% 상승했다.
홍콩에서는 그동안 부(富)의 축적 수단이었던 주식시장은 고점 대비 7%나 빠졌고 부동산시장도 이미 ‘꼭지’를 찍고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택시만한 투자처가 없다는 얘기다.
특히 택시를 사고 싶은 사람은 많아도 매물로 나온 택시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택시 가걱은 앞으로 더 오를 공산이 크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택시 투자에 이미 많은 ‘거품’이 끼어 있다고 주장한다. “버블은 이미 형성됐다”며 “정부의 규제 때문에 부동산과 주식 시장이 주춤하면서 투자자들이 마땅한 다른 투자처를 못 찾고 있어 택시 값이 오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택시 가격과 임대료가 급등한 데에는 홍콩 정부가 지난 1994년부터 새로운 택시 면허 발급을 중지한 영향이 크다. 현재 홍콩 택시 대수는 모두 1만5250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