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주 시내버스 파업 노노 갈등 표면화
  • 강석우
  • 등록 2011-04-24 08:32:08

기사수정
  • 한노총 '운행거부'로 민노총 파업 타결 무산
지난 22일 한국노총 전주지역 시내버스 노조의 전격적인 '운행거부'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의 노노 갈등이 표면화하고 있다.

이날 한노총의 운행거부로 파업 중인 민주노총 전주지역 시내버스 노조의 대타결이 무산되면서 양측이 원색적인 비난전을 벌이는 등 전면전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이날은 민노총 파업 해결을 위한 대규모 노사정 회동이 예정돼 있었고, 민노총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노조 인정 등의 핵심 쟁점을 사용자 측이 받아들이며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이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노총 입장에서는 민노총 산하 시내버스 노조가 회사로부터 공식 인정되고 본격적인 단체교섭에 나서면 입지가 크게 흔들릴 수 있는 만큼 이를 막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한노총은 그동안 민노총이 요구해온 노조 인정과 성실 교섭을 회사 측이 수용하는 데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왔다.

여기에 민노총으로 대거 옮겨갔던 조합원들이 장기간의 파업을 겪으며 점차 이탈하고 있어 타결이 좀 더 지연된다면 민노총의 조직 와해가 가시화할 것이라는 기대도 한몫했을 법하다.

민노총 전주지역 시내버스 노조는 한국노총의 운행거부로 '파업 해결을 위한 노사정 회담'이 무산된 직후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운행거부는 파업 해결을 방해하고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며 "노조 자격이 없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민노총은 한노총에 대해 '사업주의 2중대', '같은 노동자의 등에 비수를 꽂는 만행'이라는 등의 원색적인 용어를 쓰며 불만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민노총은 "전체 노동운동의 틀 속에서 노노 갈등으로 번지는 것을 피하려 그동안 부단히 노력해왔지만 한노총의 이번 행태는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일"이라며 "갈등은 이제 극명하게 드러났고 피하기도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한노총은 이에 대해 "운행에 나선 우리 조합원에 대해 폭언과 폭행을 하고 운행을 방해하는 등 정당한 근로권을 방해한 민노총에 책임이 있다"고 맞받았다.

민노총의 파업에 대해 '복수노조 시대를 앞두고 조직을 확대하려는 명분 없는 불법 파업', '법과 원칙을 벗어난 떼쓰기' 등이라고 공격해온 것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며, 전면전을 피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비친다.

양측의 이런 갈등은 7월 복수노조 시대를 앞두고 그동안의 '세 싸움'이 '감정싸움'으로 비화하는 것이며,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노노 갈등의 서곡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현재의 흐름대로라면 과반의 조합원을 확보하지 못하는 노조는 단체교섭 등에 참여하기 어려워 사실상 `식물노조'가 되기 쉽다.

따라서 한노총의 전격적인 운행거부는 회사 내외에 존재감을 과시하며 주도권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힘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다는 분석이다.

노동계 관계자는 "감정의 골이 깊어질 대로 깊어져 앞으로 양 조직 간의 갈등과 분쟁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번 일로 양측이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넌 것 같다"고 말했다.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