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획-100세 운전 시대⓵]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매년 3만건 넘어
  • 이병문 기자
  • 등록 2022-12-24 18:02:14

기사수정
  • 65세 이상 면허증 소지자 433만명…비고령자보다 치사율 높고 피해 심각

우리나라는 이제 초고령 사회로 향하면서 100세 운전 시대를 맞고 있다. 하지만 고령 운전자가 늘어나면서 이들이 내는 교통사고도 함께 증가해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고령 운전자의 사고 위험과 안전 대책을 3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 주]

 

⓵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매년 3만건 넘어

⓶해법은 “어르신, 이제 운전 그만 하세요”뿐?

⓷고령자 맞춤형 교통환경·이동권 보장 필요



우리나라는 이제 초고령화 사회로 향하면서 고령 운전자도 늘고 있으며, 이들의 부주의로 일어나는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고령 운전자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다. 

 

1980년대 말 ‘마이카 시대’가 도래하면서 30~40대는 여유가 생기면 자동차부터 샀다. 이제 그들은 노인이 됐으며, 뒷자리에 앉아 놀던 자녀들은 중장년이 됐다. 이런 점에서 운전자 고령화 문제는 우리 사회가 처음 맞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경찰청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수는 지난 10월 말 기준으로 433만7080명에 달했다. 전체 운전자의 12.7%를 차지한다. 

 

고령 운전자의 수와 비중은 2018년 307만650명(9.5%)에서 2019년 333만 7459명(10.2%), 2020년 368만 2938명(11.1%)으로 매년 약 30만명씩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401만6873명(11.9%)로 고령운전자 400만 시대를 열었다.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으로 고령층에 접어들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는 2011년 1만3596건, 2016년 2만4429건을 기록하다가 2018년 3만12건으로 3만건을 넘긴 이후 2019년 3만3239건, 2020년 3만1072건, 그리고 지난해 3만1841건으로 매년 3만 건 이상이 발생했으며 낮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는 다른 연령대 운전자에 비해 치사율이 높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피해 정도도 심각하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2015∼2019년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의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2.9명으로 비고령 운전자(1.7명)보다 1.8배 높았다. 

 

또 연령대별 운전자 10만명당 사망·중상자는 60대 348명, 70대 386명, 80대 404명으로 운전자 나이가 많을수록 사고로 인한 인적 피해가 컸다. OECD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층 10만명 당 교통사고 사망자는 19.8명(2019년 기준)으로, OECD 평균 사망자 수인 7.6명 대비 두 배를 넘었다.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증가 현상은 고령인구 자체가 늘어났을 뿐 아니라 65~70세 중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비교적 사고가 잦은 이륜차나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이 도로에 많이 나온 것도 고령자의 교통사고 야기 빈도를 높였다.

 

고령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교통사고는 연일 일어난다. 주목할 점은 고령자 교통사고 점유율 증가 속도다. 한국 고령인구 증가 속도보다 교통사고를 내는 고령자 비율은 더 빠르게 늘고 있다. 

 

고령 운전자는 신체 기능이나 인지·반응 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져 교통사고 위험이 크다. 민첩성이 요구될 때의 대처 능력도 떨어진다.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이 발간한 고령자의 교통범죄 예방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고령자 중 59.2%가 운전 중 어려움을 호소했다.

 

고령자들은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으로 ▲옆 차로의 차량이 앞으로 끼어들 때 ▲앞서 주행하던 차량이 갑자기 멈출 때 ▲눈이나 비 등으로 미끄러운 도로에서 운전할 때 ▲야간 주행할 때 ▲주행 중 전방에 있는 표지판 문자와 내용을 확인해야 할 때 등을 꼽았다. 민첩성이 필요한 순간인데 이들은 대처가 늦을 수밖에 없다.

 

정부는 고령자 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자 운전면허증 반납 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1회성 위주의 정책보다 장기적으로 고령자 맞춤형 교통환경을 설계하고 이동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관련기사

프로필이미지

이병문 기자 다른 기사 보기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가장 많이 본 기사더보기
  1. 급발진 재연 시험 분석 결과…"할머니는 액셀을 밟지 않았다" 2022년 12월 이도현(사망 당시 12세) 군이 숨진 차량 급발진 의심 사고와 관련해 사고 현장 도로에서 이뤄진 국내 첫 재연시험 기록을 법원이 지정한 감정인의 정밀 분석 결과 '도현이의 할머니는 가속페달을 밟지 않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는 결과가 나왔다.이날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제조사 측 주장과 달리 '변속패턴'이 ...
  2.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 하이패스 없이도 고속도로 통행료 무정차 납부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운영 효율화를 위해 ‘번호판 인식방식 스마트톨링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본선VMS 대왕판교요금소 전방 2km_부산방향현재 고속도로 통행료는 하이패스 또는 현장수납 방식으로 납부하고 있으나, 현장수납을 위한 가감속과 하이패스와 현장수납 차로 간 차선변경 등으로 교통정체가 발생
  3. KT "자율주행 레벨 4까지 성장에 기여…사고 0 목표" 27일 경기도 안양시 자율주행 버스 '주야로' 내부 모니터에는 "자율주행을 시작합니다."는 음성 안내를 시작으로 자율주행 모드로 운영 중이라는 의미의 하늘색 버튼이 켜졌다. 같은 화면에 정류장 이름과 함께 자동차, 차선 등 도로 상황이 도식화돼 그대로 표시됐다.우회전·좌회전은 신호등에서 한 번 멈추고 진행했으며, 정류장...
  4. 박상우 국토부 장관, 서울-세종 고속도로 개통 준비상황 점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5일 오후 서울-세종 고속도로 구간 중 안성-구리 제14공구 건설현장을 방문, 공사 진행상황을 점검했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5일 오후 서울-세종 고속도로 구간 중 안성-구리 제14공구 건설현장을 방문, 공사 진행상황을 점검했다.안성-구리를 잇는 72㎞ 구간은 현재 공정률 91%로 올해 말 개통한...
  5. 경기도, 버스 분야 안전운행 일제점검 추진...운수업체 1천4곳 전체 경기도는 6월 28일까지 대중교통안전사고 예방과 서비스 향상을 위한 ‘버스 분야 안전운행 일제점검’을 실시한다. 경기도내 버스터미널 자료사진 점검 대상은 도내 1천4개 운수업체의 운행버스 2만 9천289대, 터미널 27개소, 차고지 34개소다. 이번 점검은 도, 시군, 한국교통안전공단, 소방서 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진행하며, 사...
  6. 대전시-에어로케이 항공 업무협약 체결 대전시와 에어로케이 항공사는 27일 ‘국제노선 개설 확대를 위한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에어로케이 항공 업무협약 체결주요 협약 내용은 ▲국제노선 개발을 위한 행정적 지원 ▲전략노선 공동 개발 ▲대전시민 항공 할인 ▲대중교통 확대 운영 노력 ▲지역민 우선채용 등에 대한 상호협력 및 지원
  7. 사고로 통제된 부산 동서고가로…뒤늦은 안내문자에 시민 분통 27일 오전 4시 40분께 부산 사상구 동서고가도로 시외 방면 학장램프 부근에서 트레일러가 빗길에 미끄러져 중앙분리대를 들이받고 멈춰 섰다.이 사고로 트레일러 운전자는 경상을 입었지만 트레일러에 실린 컨테이너가 도로에 떨어져 2시간가량 두 개 차로가 전면 통제됐다가 오전 6시 30분께부터 한 개 차로의 통행이 재개됐다.그사이 사고.
  8. “안심하고 타세요” 나주시, 장애인 전동보장구 보험료 전액 지원 전라남도 나주시가 전동보장구(전동스쿠터·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의 사고 발생에 대비해 전용 보험 가입을 지원한다.  전동보장구 이용 장애인 나주시는 6월 1일부터 관내 전동보장구 이용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전동보장구 보험’ 가입 비용 전액을 지원한다고 27일 밝혔다.  보행이 어려운 장애인이 전동보장
  9. 고양시, 전기자동차 급속충전시설 52곳 구축 고양시는 지난 24일 SK일렉링크,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와 `고양특례시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구축 및 운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고양시는 지난 24일 SK일렉링크,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와 `고양특례시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구축 및 운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 협약은 전기차 보급 확대와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고양특
  10. 대전시·에어로케이, 청주공항 활성화 업무협약 대전시는 에어로케이 항공사와 '국제노선 개설 확대를 위한 청주국제공항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주요 협약 내용은 국제노선 개발을 위한 행정적 지원, 전략노선 공동 개발, 대전시민 항공 할인, 대중교통 확대 운영 노력, 지역민 우선 채용 등이다.대전시는 자매도시인 일본 삿포로와 중국 선양 등에 직항노선을 .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